UPDATED. 2025.05.21(수)

신라·신세계면세점, 인천공항에 임차료 인하 조정 신청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5-21 14:56:09

신라·신세계면세점, 인천공항에 임차료 인하 조정 신청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면세업계 불황으로 실적 부진에 시달리는 호텔신라와 신세계면세점이 인천국제공항점 임차료 인하를 위해 법원에 조정을 신청했다.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는 4월, 신라는 5월 각각 인천지방법원에 조정 신청서를 제출했다.

두 업체는 인천공항 제1·2 여객터미널의 화장품·향수·주류·담배 매장 임대료를 40% 인하해달라고 요청했으며, 조정 기일은 다음 달 2일로 예정되어 있다. 인천공항 면세점 임차료는 2023년부터 고정 임차료 방식에서 공항 이용객 수에 연동하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두 면세점이 특허권 입찰 시 제시한 여객 1인당 수수료는 약 1만원으로, 월 300만 명 수준의 공항 이용객을 고려하면 한 업체당 월 임차료는 300억원, 연간 3,600억원에 이른다. 이는 지난해 기준 신라 연매출(3조2,819억원)의 11%, 신세계 연매출(2조60억원)의 18%에 해당하는 부담스러운 금액이다.

문제는 인천공항 이용객 수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지만, 면세점 이용자 수와 매출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인 단체관광객 유입이 급감하고 관광객들의 소비패턴이 변화하면서 면세점 구매자 수가 크게 줄었다. 여기에 최근 고환율까지 겹치며 면세점들의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호텔신라는 지난해 69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전환했고, 신세계면세점도 2023년 866억원 흑자에서 지난해 359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두 면세점은 올해 1분기에도 각각 50억원, 23억원의 손실을 기록하며 작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

면세점 관계자는 "인천공항공사에 여러 차례 임차료 인하를 요청했으나 거절돼 부득이하게 법원에 조정을 신청하게 됐다"며 "면세업 위기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 발전적 해법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해외 공항들은 임차료 인하를 포함한 다양한 지원책으로 상생을 도모하고 있다"며 "국내 관광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면세업 회생을 위해 인천공항 측의 전향적인 검토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특허 기간이 10년으로 아직 8년이나 남은 상황에서 두 면세점의 법적 대응은 더는 손실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절박함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25.58 ▲23.78
코스닥 723.62 ▲8.07
코스피200 349.38 ▲2.36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9,200,000 ▼60,000
비트코인캐시 555,500 ▼2,500
이더리움 3,544,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5,900 ▼130
리플 3,290 ▼8
이오스 1,034 0
퀀텀 3,179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9,266,000 ▼73,000
이더리움 3,544,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5,920 ▼140
메탈 1,143 ▲7
리스크 734 ▼1
리플 3,291 ▼12
에이다 1,054 ▼13
스팀 20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9,160,000 ▼50,000
비트코인캐시 557,500 ▲1,500
이더리움 3,542,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5,910 ▲20
리플 3,289 ▼9
퀀텀 3,193 0
이오타 3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