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26(토)

컴포즈커피, '2025 매경 100대 프랜차이즈' 4년 연속 선정

"상생과 품질로 승부"...컴포즈커피, 100대 프랜차이즈 4년 연속 입성

신승윤 CP

2025-07-24 14:24:12

[사진설명] 컴포즈커피 남궁희 마케팅 팀장

[사진설명] 컴포즈커피 남궁희 마케팅 팀장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국내 최대 로스팅 공장 기반으로 급성장, 영업이익률 41% 달성

국내 저가 커피 시장의 강자로 자리매김한 컴포즈커피가 매경미디어그룹이 주관하는 '2025 100대 프랜차이즈' 커피 부문에 4년 연속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이는 2014년 부산에서 시작된 컴포즈커피가 전국 단위 브랜드로 성장하며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올해로 15회째를 맞는 '매경 100대 프랜차이즈'는 공정거래위원회에 등록된 프랜차이즈 브랜드 1만 2000여 개를 대상으로 업종별 대표성, 가맹본부의 경쟁력, 프랜차이즈 산업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100개 우수 브랜드를 선정하는 권위 있는 시상제도로 알려져 있다.

10년 만에 전국 2,971호점 달성, 가파른 성장세 지속
컴포즈커피는 런칭 이래 고품질의 원두와 합리적인 가격을 두루 겸비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지속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2025년 7월 기준으로 론칭 10년 만에 가맹점 2,971호점을 돌파했으며, 이는 커피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수치다.

컴포즈커피는 2014년 부산 경성대점을 시작으로 2017년 150개, 2019년 400개, 2021년 1,380개, 2023년 2,500개점의 가맹점을 오픈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최근 4년간 점포를 매년 500600개씩 확대해온 결과로 20212022년을 기점으로 경기도·서울 점포 수가 부산 점포 수를 넘어서는 등 명실공히 전국 단위 브랜드로 올라섰다.

영업이익률 41% 달성, 업계 최고 수준의 수익성 확보

컴포즈커피의 성장은 단순한 규모 확장을 넘어 수익성 면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영업이익률이 무려 41.3%에 달해 국내 커피 브랜드 중 1위를 차지했다. 이는 2위 메가커피의 18.8%, 3위 더벤티의 14.6%와 비교해도 압도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매출액은 888억원으로 전년(737억원) 대비 20.4% 증가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6.9%(249억원→366억원) 늘었다. 이러한 높은 수익성의 배경에는 컴포즈커피만의 독특한 사업구조가 있다. 가맹점에 공급하는 상품매출의 원가율이 8.2%에 그쳐 높은 마진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국내 최대 규모 자체 로스팅 공장, 품질과 가격경쟁력의 원천
컴포즈커피의 가장 큰 강점은 국내 최대 규모의 자체 로스팅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2016년 당시 국내 최대 규모의 로스팅 공장 설립을 통해 가맹점으로 공급되는 원두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었다. 또한 2021년 12월 전자동화 컨트롤 시스템을 갖춘 스마트 공장도 오픈했으며, HACCP 인증까지 완료한 공장은 상품 설계부터 개발, 제조, 유통, 물류까지 모든 생산 과정 수행이 가능하다.

이 공장에는 100년 이상의 전통을 자랑하는 독일 프로밧과 이탈리아 페트론치니의 대형로스터, 미국 MPE사 원두이송라인, 이탈리아 'ICA' 패킹머신 등을 도입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설비를 갖추고 있다. 최고의 커피 전문가들이 직접 생두를 선별하고, 엄격한 기준에 따라 로스팅을 진행해 전국 가맹점에 고품질 원두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가맹점과의 상생경영, 지속가능한 성장의 핵심

가맹점과의 동반 성장 또한 컴포즈커피가 지향하는 핵심 가치 중 하나다. 자체 공장을 통해 낮은 원재료비와 균일한 품질을 실현함으로써 가맹점주들에게 합리적인 조건의 물류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질적인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다.

컴포즈커피는 2022년 기준 폐점률 약 0.5%대의 업계 최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가맹점주들의 높은 만족도와 안정적인 운영이 뒷받침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MZ세대 겨냥한 제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

컴포즈커피는 소비자 취향을 적극 반영한 제품 개발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고객의 요청으로 재출시된 인기 제품부터, 시즌 트렌드와 제철 식재료를 반영한 신제품까지, 폭넓은 메뉴 구성으로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팥절미 밀크쉐이크', '인절미 컵빙' 등 MZ세대의 감성을 저격한 절미 시리즈가 큰 인기를 끌며 트렌디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기여하고 있다.

마케팅 면에서도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2월엔 60억원을 투자해 K-팝 스타 BTS '뷔'를 모델로 기용하는 등 공격적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는 저가 커피 브랜드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의 이미지 전환을 위한 전략적 투자로 해석된다.

저가 커피 시장의 성장과 컴포즈커피의 위상

국내 커피 시장에서 저가 커피 브랜드들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다. NH농협카드가 국내 8개 커피 전문점 브랜드를 저가 커피(메가커피·컴포즈커피·빽다방·매머드커피)와 그 외(스타벅스·할리스커피·엔제리너스·투썸플레이스)로 나눠 분석한 결과, 2023년 매출액 기준 저가 커피는 전년 대비 37% 성장했다.

가맹점 매장수 기준으로는 메가커피 3038개, 이디야 3019개, 컴포즈커피 2500개로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업이익 순위에서는 스타벅스>메가커피>컴포즈커피>투썸>더벤티 순으로 3위에 올랐다.

해외 진출과 미래 전망

컴포즈커피는 해외 진출에도 적극적이다. 현재 싱가포르에 2호점까지 오픈한 상태이며, 최근 필리핀의 글로벌 프랜차이즈 기업 졸리비푸즈(Jollibee Foods)가 컴포즈커피 경영권을 인수함에 따라 동남아시아 시장으로의 본격적인 확장이 기대되고 있다.

졸리비푸즈는 "컴포즈커피는 매장 수 측면에서 졸리비푸즈의 가장 큰 브랜드가 될 것"이라며 "인수 이후 전체 매출은 2%가량 증가하고 특히 글로벌 매출이 41%가량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 전문가 분석과 향후 과제

커피 프랜차이즈업계 관계자는 "저가 커피(메가커피·컴포즈커피·더벤티·빽다방·매머드커피)와 고가 커피(스타벅스·투썸·폴 바셋·엔제리너스·할리스)로 양분돼 있지만 생존을 위한 경쟁은 치열하다"면서 "커피의 퀄러티는 이미 평준화된 상태로 결국 커피전문점 정체성과 브랜딩이 성패를 좌우하는 성숙기로 접어들었다"고 분석했다.

다만 높은 투자 비용 대비 평균 매출액이 경쟁사보다 낮다는 점은 가맹점주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창업 초기비용인 가맹비·교육비·보증금 등 가맹점사업자 부담금이 9523만원으로 메가커피(7092만원), 빽다방(7357만원), 더벤티(7780만원)보다 높은 편이기 때문이다.

컴포즈커피 관계자는 "컴포즈커피가 4년 연속 100대 프랜차이즈에 이름을 올릴 수 있었던 것은 언제나 브랜드를 신뢰해주신 고객분들과 함께 성장해온 가맹점주님들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품질 좋은 원두에 대한 고집과 '상생'을 최우선 가치로 여기는 일관된 브랜드 철학을 바탕으로 더 많은 분들께 사랑받는 브랜드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10주년을 맞이하는 컴포즈커피는 국내 최대 규모의 자체 로스팅 공장과 가맹점과의 상생경영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어가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한국의 커피 문화를 전파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 kiss.sfws@gmail.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6.05 ▲5.60
코스닥 806.95 ▼2.94
코스피200 430.78 ▲0.75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140,000 ▲591,000
비트코인캐시 735,000 ▼4,000
이더리움 5,005,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30,100 ▲20
리플 4,190 ▲27
퀀텀 3,080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199,000 ▲723,000
이더리움 5,003,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30,110 ▲60
메탈 1,074 ▲9
리스크 627 ▲7
리플 4,192 ▲28
에이다 1,082 ▲8
스팀 197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200,000 ▲590,000
비트코인캐시 738,000 ▼1,000
이더리움 5,005,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30,100 ▲100
리플 4,186 ▲23
퀀텀 3,074 0
이오타 27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