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01(금)

[간밤의 美친 주식] Opendoor, '밈 주식' 열풍 지나자 12% 급락

Electronic Arts, 월가 예상치 상회 실적 5.7% 상승 ... Freeport-McMoRan, 구리 관세정책에 급락

CP CP

2025-07-31 07:43:55

[글로벌에픽 CP] 1. Humana Inc. (HUM) = 2분기 실적 호조로 급등세

보험 및 헬스케어 기업으로 2분기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발표, 주가가 12.4% 상승했다.

30일 22분기 실적 발표에서 GAAP 기준 주당순이익 4.51달러, 조정 주당순이익 6.27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를 6.81% 상회하는 실적으로, 매출 역시 323억 9000만달러를 기록해 예상치 318억 5천만 달러를 1.7% 웃돌았다.

특히 주목할 점은 연간 조정 주당순이익 가이던스를 기존 16.25달러에서 17.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는 것이다. 이는 애널리스트들의 컨센서스전망치 16.38달러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또한 연결매출 가이던스도 기존 1,260억~1,280억 달러 범위에서최소 1,280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이번 실적은 회사의 견고한 경영 전략과 운영 효율성을 입증하는 결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메디케어 어드밴티지와 센터웰 사업 부문에서의 성장 전략이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면서, 향후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2. Electronic Arts (EA) = 월가 예상치 상회하는 실적호조 5.7% 상승

글로벌 게임 개발사로 분기실적 발표가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돌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4분기 매출 19억 달러를 기록하며, 예상치 15억5000만 달러를 3억5000만 달러나 상회했다. 이는 회사의 강력한 판매 성과를 보여주는지표로 평가된다.

EA SPORTS College Football 25의 성공적인 출시가미국 풋볼 생태계 성장에 크게 기여했으며, EA SPORTS 포트폴리오 전반에서 강력한 성과를 보였다. 라이브 서비스 부문은 하반기 중간 한 자릿수 성장이 예상되며, 대학및 NFL 풋볼, EA Sports FC와 같은 스포츠 프랜차이즈가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올 여름 Battlefield의 공개가예정되어 있으며, 이는 차세대 블록버스터 엔터테인먼트 제공의 중요한 단계로 평가된다.

시장 분석가들은 EA 주식을 '보유(Hold)' 등급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평균 12개월 목표 주가는 154.22달러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현재 주가 대비 약간의 상승 여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실적 발표는 회사의 강력한 스포츠 게임 포트폴리오와 라이브 서비스 부문의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확인시켜주었다. 특히 College Football 25의 성공과 EA Sports FC의 회복세는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있다. AI 기술을 활용한 혁신과 다가오는 블록버스터 게임 출시 계획은 장기적 성장 전략의 핵심 축으로평가된다.
3. Freeport-McMoRan (FCX) = 트럼프 행정부 관세부과 정책에 9.5% 급락

트럼프 행정부가 구리 수입에 대해 50% 세율의 신규 관세를 부과한다는소식에 크게 하락했다.

지난 3개월 동안 25.1% 하락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미국 관세에 대한 불확실성과 회사의 높은 생산 비용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회사는 2024년 4분기구리 1파운드당 통합 단위 순현금 비용이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했다고발표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트럼프의 50% 구리 수입 관세가 맥모란과 같은 미국생산업체에게는 유리하지만, 서던 코퍼 코퍼레이션과 같은 수입업체에게는 불리하여 이중 구조의 구리 시장을만들어낸다고 분석했다.

현재 맥모란은 선행 주가수익비율 16.35배로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업계 평균 16.64배보다 약 1.7% 할인된 수준이다. 이는 현재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합리적인 밸류에이션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주가 급락은 트럼프 행정부의 구리 관세 정책이 불러온 복합적인 결과다. 단기적으로는관세 정책으로 인한 시장 불확실성과 높은 생산 비용이 주가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미국 내 최대 구리 생산업체로서의 지위가 관세 혜택을 통해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투자자들은 구리 시장의 구조적 변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그리고 미국 제조업 부활 정책의 실효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8월 1일 관세시행 이후 실제 시장 반응과 회사의 실적 개선 여부가 향후 주가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가 될 전망이다.

4. Trane Technologies (TT) = 실적 호조에도매출 전망 우려로 8% 하락

30일 2분기 실적 발표후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다. 주가는 장중 7.2%에서 8% 가까이 폭락했으며, 이는 회사의 실적이 전반적으로 양호했음에도불구하고 매출 전망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2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3.88달러로 월스트리트 예상치인 3.79달러를 0.09달러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전년 동기대비 18% 증가한 수치로, 회사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음을보여주었다. 하지만 매출 부문에서는 아쉬운 결과를 보였다. 2분기매출은 57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했지만, 시장 예상치인 57억7000만 달러를 소폭 하회했다. 비록미미한 차이였지만, 투자자들은 이러한 매출 부진을 성장세 둔화의 신호로 해석한 것으로 보인다

2분기에 56억 달러라는 기록적인 수주를 달성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한 수치다. 회사의 수주잔고도 71억 달러로 2024년 말 대비 6% 증가해 향후 매출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날 주가 하락은 시장이 단기적인 우려 요인들을 더 중시했음을 보여준다. 분석가들은 "수익성 증대에도 불구하고 매출 부진과 지역별 편차, 그리고 비용 상승 압박이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평가했다.

5. Opendoor Technologies (OPEN) = ‘밈 주식’ 열풍 지나자 12% 급락

부동산 테크기업으로 ‘밈 주식’ 열풍을타고 7월들어 2주만에 400% 이상 급등했다.

급등은 7월 14일 헤지펀드매니저 에릭 잭슨의 X(구 트위터) 게시물에서 촉발되었다. 잭슨은 당시 1달러 미만에서 거래되던 오픈도어가 향후 몇 년 내 82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며 "100배 수익" 가능성을 제시했다.

오픈도어는 7월 14일종가 0.90달러에서 160% 가까이 상승해 2.31달러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이런 급등세는 오래가지 못했다. 공매도 비중이 24%에 달하며 인위적인 상승 압력이 작용했지만, 이러한 역학은 본질적으로 변동성이 클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최근 하락의 직접적인 계기는 오픈도어가 7월 28일로 예정됐었던 주주총회를 8월 27일로 연기한다고 발표한 것이었다. 이 총회에서는 역주식분할(reverse stock split) 제안에 대한 투표가 예정되어 있었다.

회사는 지난 5월 나스닥으로부터 주가가 30일 연속 1달러 미만을 기록해 상장 규정 위반 통지를 받았다. 나스닥 상장을 유지하려면 11월 24일까지 최소 10일 연속 1달러 이상을 유지해야한다는 조건이 있어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웠다.

8월 5일 2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며, 이때 회사의 실질적인 회복세를 확인할수 있을 전망이다. 지난 1년간 5% 이상 변동이 85회나 발생할 정도로 극도로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있어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글로벌에픽 CP /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45.44 ▼9.03
코스닥 805.24 ▲1.57
코스피200 438.60 ▼1.21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377,000 ▼723,000
비트코인캐시 793,000 ▼4,000
이더리움 5,239,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9,570 ▼220
리플 4,290 ▼36
퀀텀 3,017 ▼1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482,000 ▼717,000
이더리움 5,245,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9,500 ▼280
메탈 1,047 ▼4
리스크 608 ▼1
리플 4,294 ▼32
에이다 1,054 ▼11
스팀 192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470,000 ▼770,000
비트코인캐시 792,500 ▼5,000
이더리움 5,24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9,500 ▼290
리플 4,289 ▼39
퀀텀 3,049 ▲49
이오타 27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