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화재로 서울시 전체 전산시스템 411개 중 대시민 서비스 38개, 내부 시스템 26개 등 총 64개가 중단되거나 일부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시는 사고 직후 전담 인력 450명으로 구성된 '상시 장애 대응 체계'를 즉각 가동해 현황을 파악하고, 서울시 누리집과 SNS, 120다산콜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시민들에게 긴급 안내를 진행했다.
특히 주민등록, 복지, 청년, 교통 등 시민 생활과 밀접한 38건의 대시민 서비스 가운데 27건은 수기 접수, 대체 인증, 직접 입력 등으로 운영 준비를 마쳤으며, 나머지 서비스도 조속히 정상화할 계획이다. 정부24, 국민신문고 등 주요 서비스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와 실시간 협조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시는 같은 날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피해 현황과 복구 일정의 신속 공유, 인증 체계 다변화, 수기 접수처 운영, 하도급 대금 수기 지급 허용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또한 인감증명서 발급 시 본인 확인 문제, 민생회복소비쿠폰 신청 관련 불편 사항 등에 대한 대책 마련도 요청했다.
오세훈 시장은 "이번 전산 장애는 시민 생활과 직결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고, 정부와 협력해 서비스 정상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글로벌에픽 오경희 CP / oughkh@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