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0.23(목)

서울경제진흥원, 세계 석학과 산업 리더 한자리에..‘서울AI로봇쇼 로봇전문가 포럼’ 개최.

오경희 CP

2025-10-02 07:36:08

서울경제진흥원, 세계 석학과 산업 리더 한자리에..‘서울AI로봇쇼 로봇전문가 포럼’ 개최.
[글로벌에픽 오경희 CP] 중소기업 지원기관인 서울경제진흥원(SBA, 대표이사 김현우)이 지난 10월 1일 코엑스 E홀에서 열린 ‘서울AI로봇쇼 로봇전문가 포럼’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로봇 친화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머리를 맛댄 이번 포럼은 '로봇 친화 도시, 서울로의 발돋움'을 주제로 세계적 석학과 산업계 리더들이 모여 로봇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심도 있게 논의한 자리였다. 행사장에는 로봇산업 관계자와 시민 250여 명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여줬다.

포럼의 기조연설을 맡은 공경철 KAIST 교수 겸 엔젤로보틱스 의장은 "로봇을 통합하는 요소 기술이 있으며, 엔드프로덕트로 완성되기 위해서는 수많은 기술과 스타트업을 비롯한 기업들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이미 국제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이 등장한 만큼, 이제는 1등 초격차 분야를 집중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리군 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 상무는 '공간, 사람, 그리고 로보틱스'를 주제로 발표하며 "도시는 이제 자동차 중심 공간이 아니라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복합 생태계로 진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데니스 홍 UCLA 교수는 최신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 성과를 소개하면서 "휴머노이드 로봇은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시민과 직접 상호작용하는 도시 서비스의 주체가 될 것"이라고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특별 강연에 나선 김상배 MIT 교수는 '피지컬 인텔리전스(physical intelligence)'를 주제로 "AI 기업들이 주로 언어와 같은 고차원 데이터만 활용하고 있지만, 진정한 로봇 지능을 위해서는 인간의 무의식적 행동을 담은 '액션 언어(action language)'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의대 쏠림 현상과 로봇산업 생태계 재편 문제를 비롯해 로봇과 의료 인프라의 융합 가능성이 논의됐다. 공경철 교수는 "이미 구축된 의료 인프라를 활용해 재활·보조 로봇 분야에서 성과를 낼 수 있다"고 했고, 최리군 상무는 "이과 중심의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며 “과학기술을 통해 사회를 주도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럼의 마지막은 '로봇 친화 도시 서울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졌다. 김상배 교수는 "K-POP과 K-FOOD처럼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문화적 자산에 로봇 기술을 융합한다면 충분히 세계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전망했다. 공경철 교수 역시 "서울은 의료 인프라가 잘 갖춰진 만큼 이를 로봇 기술과 얼마나 성공적으로 결합하느냐가 서울만의 로봇 브랜드를 만드는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포럼은 서울이 로봇 친화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비전과 과제를 공유하는 의미 있는 자리로 평가된다.

[글로벌에픽 오경희 CP / oughkh@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845.56 ▼38.12
코스닥 872.03 ▼7.12
코스피200 536.37 ▼6.2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435,000 ▼734,000
비트코인캐시 728,000 ▼3,500
이더리움 5,835,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3,640 ▼50
리플 3,625 ▼5
퀀텀 2,948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605,000 ▼717,000
이더리움 5,840,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23,670 ▼10
메탈 758 ▼3
리스크 324 ▲1
리플 3,625 ▼8
에이다 962 ▼4
스팀 13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480,000 ▼720,000
비트코인캐시 728,000 ▼3,000
이더리움 5,84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3,660 ▼80
리플 3,625 ▼5
퀀텀 2,949 ▲13
이오타 21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