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정 위원장은 성인지 관점에서 돌봄을 ‘여성의 무급노동’에 의존하지 않고, 공적 책임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약 6개월간의 현장 정담회와 제도 설계를 거쳐 2024년 5월 「경기도 아동돌봄 기회소득 지급 조례」를 대표발의했다. 사업이 시작된 지 1년여 만에 주민 참여는 약 9배, 등록 아동은 약 6배, 공동체 수는 약 6배 확대됐다.
또한 고은정 위원장은 “누구나 돌봄 때문에 경력이 끊기지 않고, 여성 기업인도 공정한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관련 예산과 제도를 책임 있게 챙기겠다”라며, “성평등을 위해 현장의 의견을 꾸준히 듣고,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으로 이어가겠다”라고 밝혔다. 고은정 위원장은 권역별 간담회를 통해 여성기업인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예산과 집행 기준을 개선했다. 나아가, 경기 남·북부 간 접근성 편차 완화, 여성기업에 대한 전 주기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하고, 적극행정을 당부했다.
끝으로 고은정 위원장은 “지금 우리 사회의 여러 문제는 서로 얽혀 있어 쉽게 풀기 어려워 보인다”라며 “저출산, 돌봄 공백, 여성 경력 단절, 젠더 갈등 같은 과제를 현장에서 할 수 있는 일부터 시작했던 것이 오늘 ‘양성평등정책대상’ 수상이라는 영예로 이어졌다”라고 감회를 밝혔다. 이어 “성평등한 세상, 차별없는 세상, 그리고 공감하고 소통하는 한결같은 생활 정치로 보답하겠다”라고 말했다.
[글로벌에픽 이정훈 CP / smedail@daum.net]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