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 단지 석화 제품 생산 기능 단일화
양사의 사업재편 방안은 충남 대산 석유화학산업단지 내 롯데케미칼 공장을 물적분할하고, 이를 HD현대케미칼과 합병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합병 이후 물적분할된 신설 법인은 소멸하고 HD현대케미칼만 남는 구조다. 이어 롯데케미칼과 HD현대오일뱅크는 HD현대케미칼의 지분을 각각 50%씩 보유하게 된다.
이 같은 구조 개편을 통해 양사는 대산 산업단지 내 석유화학 제품 생산 기능이 단일 체계로 운영되도록 함으로써 생산·공정의 일관성과 운영 안정성을 높일 계획이다. 합병 이후 롯데케미칼 대산 공장이 통합된 HD현대케미칼이 향후 양사가 보유한 NCC 운영 방안을 논의하며 최종적으로 NCC 감축 규모를 확정할 예정이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26일 여수 국가산업단지를 방문하여 'NCC 보유 석화기업들의 신속한 사업재편을 촉구'하며 정부가 설정한 연말 데드라인을 강조했다. 아울러 장관은 기한을 맞추지 못할 경우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명확히 경고하여, 업계에 긴박감을 전달했다.
여수·울산 단지도 구조조정 논의 진행 중
현재 대산 산업단지를 포함해 여수와 울산 산업단지에서도 석유화학 구조조정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울산 지역에서는 대한유화, SK지오센트릭, 에쓰오일 등 3개사가 외부 컨설팅 기관의 자문을 통해 재편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여수 지역에서는 LG화학과 GS칼텍스 간 사업 재편이 추진되고 있다. 여수에서는 여천NCC와 롯데케미칼의 설비 통합안도 타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케미칼은 이번 사업재편을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사업 구조의 안정성과 핵심 사업 집중도를 높여 중장기적인 사업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HD현대는 공시를 통해 '사업 구조의 안정성과 핵심 사업 집중도를 높여 중장기적인 사업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양사는 NCC 설비의 합리화와 함께 고부가 및 친환경 사업 구조로의 전환을 병행할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구조조정을 넘어 석유화학 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전략으로 평가된다.
이번 사업재편안은 정부의 심사 및 승인 절차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양사는 정부 승인 이후 세부 운영을 위한 최적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추가 협의를 진행할 방침이다. 롯데케미칼은 "주요 사항이 확정되는 즉시 관련 규정에 따라 추가로 공시하겠다"고 명시하여 향후 진전 상황을 공개할 것을 예고했다.
이번 재편안은 지난 8월 20일 양사를 포함한 10개 석유화학 기업이 사업재편을 위한 자율협약을 맺은 지 100일을 앞두고 처음으로 구체화된 업계 구조조정안이다. 정부의 연말 데드라인과 정부 지원 중단 위협이 가해지는 상황 속에서 향후 2~3개월 내 추가 재편안들이 제출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구조개편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