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11(월)

[간밤의 美친주식] Eli Lilly, 경구용 비만치료제 임상실험 실망에 급락

Duolingo, 2분기 깜짝 실적 14% 급등 ... Advanced Micro, 반도체 관세 정책 수혜 5.7% 상승

CP CP

2025-08-08 07:02:31

[글로벌에픽 CP] 1. Apple = 트럼프와 회동 후 1000억 달러 추가 투자 약속 상승

6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팀 쿡 애플 CEO가백악관에서 만나 발표한 1,000억 달러 규모의 추가 미국 투자 계획이 주가 상승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다.

이번 투자 발표의 핵심은 트럼프 행정부의 100% 반도체 관세 정책에서 애플이 면제받았다는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와 칩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도 "미국에서 제조하거나 제조를 약속한 기업들에게는 관세가 없을 것"이라고명시했다.

이 같은 관세 면제 소식에 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애플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3.3% 상승했으며, 이는 지난 5월이후 가장 큰 하루 상승폭을 기록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1,530억달러가 증가하는 등 투자자들의 신뢰가 크게 회복됐다.
골드만삭스는 애플에 대해 266달러의 목표주가와 함께 '매수' 등급을 유지했다. 2025년 7월앱스토어 지출이 전년 대비 13% 증가한 점을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애플이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계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베어드의 테크놀로지 섹터 전략가 테드 모튼슨은 "팀 쿡은기술업계의 공급망 천재로 알려져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가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 미리 파악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 Nvidia = 반도체 관세 면제 혜택으로 2.3% 상승

미국 내 반도체 생산시설 투자를 약속한 기업에 대해 관세 면제 방침이 나오자 상승세를 보였다.

트럼프 캠프는 엔비디아(Nvidia), 인텔(Intel), 삼성전자, TSMC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도 미국 내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인 만큼, 이들 기업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면제 대상 검토가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방침으로 엔비디아는 중국과의 무역 분쟁심화 속에서도 상당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서게 되었다.

엔비디아의 주가 상승세는 단순히 관세 면제 혜택에만 기인하지 않는다. GPU는 원래 컴퓨터그래픽 처리를 위한 고성능 장치인데요.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병렬 방식을 택하기 때문에 AI 연산 처리에 적합합니다. 그리고 서버에 탑재되는 GPU의 약 90%가 바로 엔비디아 제품입니다.
AI 열풍이 지속되면서 고성능 GPU에 대한 수요는급증하고 있다. 인류는 인공지능(AI)과 함께 중대한 변곡점에도달했고, 2025년에도 AI가 가장 주목받는 기술이 될것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죠. 특히 생성형 AI 기술의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엔비디아의 시장 지위는 더욱공고해지고 있다.

3. Advanced Micro Devices = 반도체 관세 정책 수혜 기대감 5.7% 상승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관세 정책 발표 이후 급등세를 보였다. 전 거래일 대비 5.7% 상승했으며, 같은 날 반도체 관련주들이 전반적으로 강세를나타냈다.

AMD의 주가 상승은 반도체 업계 전반의 투자심리 개선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백악관에서 발표한 관세 정책에서 "미국내 공장을 건설 중이거나 건설을 확실히 약속한 기업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밝히면서, 미국 반도체 기업들에 대한 수혜 기대감이 커진 것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여전히 유동적이며, 구체적인 시행 방안과 적용범위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있다고 지적한다. AMD를 비롯한 반도체 관련주의 급등이 과도한 기대감에기인한 것일 수 있어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현재 AMD의 주가는 올해 들어 상당한 변동성을 보여왔으며, 2025년 8월 현재 163.12달러에 거래되고있다. 52주 최고가 182.50달러 대비 약 10% 하락한 수준이지만, 최저가 76.48달러 대비로는 두 배 이상 상승한 상태다.

반도체 업계는 트럼프 행정부의 구체적인 관세 시행 계획과 함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새로운 기회와 도전에 주목하고 있다. AMD의 주가 상승은 이러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미국 반도체 기업들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사례로 평가된다.

4. Eli Lilly = 경구용 비만치료제 임상 실망에 14% 급락

7일 발표한 경구용 비만치료제 '오르포글리프론(orforglipron)'의 3상 임상시험 결과가 시장 기대치를 밑돌면서주가가 14.4%나 급락했다. 이는 올해 들어 릴리 주식이기록한 최대 하락폭으로, 2025년 누적 하락률이 17%에달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릴리의 2분기 실적은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했다. 회사는 매출 155.6억 달러(전년동기 대비 38% 증가), 주당순이익(EPS) 6.31달러를 기록하며 각각 예상치인 147.1억 달러, 5.56달러를 웃돌았다.

핵심 제품인 당뇨병 치료제 마운자로(Mounjaro)는 52억 달러의 매출로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했고, 비만치료제젭바운드(Zepbound)도 33.8억 달러로 172% 급증하는 성과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회사는 2025년 매출 전망을 600억-620억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데이비드 릭스 CEO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 결과에 실망하지 않는다"며 "대규모 시장을 위한 편리하고 경쟁력 있는 경구용 약물을 만드는 목표를 달성했다"고 강조했다.

릴리는 오르포글리프론의 상세한 결과를 9월 유럽당뇨병학회 연례회의에서 발표하고 동료심사 저널에게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올해 말까지 전 세계 규제당국에 승인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비록 이번 임상 결과가 기대치에 못 미쳤지만, 일부 의료진들은 "경구용 약물로서는 강력하고 유망한 결과"라며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성과"라고 평가하고 있다. 특히 주사를 기피하는 환자들에게는 여전히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번 주가 급락은 제약업계에서 파이프라인 임상 결과가 주식 가치에 미치는 즉각적이고 강력한 영향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 강력한 기존 제품 매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미래 성장 동력에 대한우려가 현재 주가에 즉시 반영되는 시장의 민감성을 확인할 수 있다.

5. Duolingo = 2분기 깜짝 실적으로 14% 급등

언어 학습 플랫폼 업체로 6일 발표한 2분기 실적이시장 전망치를 크게 상회하면서 주가가 14.2% 급등했다. 특히구독 수익의 급성장과 AI 기반 서비스 확대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두오링고는 2025년 2분기(6월 말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2억 5,23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월가 예상치인 2억 4,100만 달러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더욱 인상적인 것은 구독수익이 전년 동기 대비 46% 급증한 점이다.

3분기 매출 전망도 2억 5,700만~2억 6,100만달러로 제시했는데, 이는 월가 전망치인 2억 5,300만 달러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회사 관계자는 "우리는 여전히 사용자 성장 여정의 초기 단계에 있다고 믿는다"며 "모든 구독 등급에서 강력한 성과를 통해 수익성을확대하면서도 혁신을 제공해왔다"고 강조했다.

주가는 올해 들어 34% 이상 상승, 여전히 높은밸류에이션 부담을 안고 있다. 현재 주가수익비율(PER)이 250배가 넘고, 매출 대비 주가배수(PSR)도 30배 수준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애널리스트들은 성장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전 세계 온라인 언어 학습 시장 규모가 2025년 47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 시장의 선두주자로서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글로벌에픽 CP /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0.90 ▲0.89
코스닥 813.34 ▲4.07
코스피200 433.71 ▲0.2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339,000 ▼261,000
비트코인캐시 789,000 0
이더리움 5,916,000 ▲42,000
이더리움클래식 32,230 ▲20
리플 4,465 ▲5
퀀텀 3,065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219,000 ▼327,000
이더리움 5,912,000 ▲47,000
이더리움클래식 32,190 ▲70
메탈 1,071 ▲1
리스크 608 ▲1
리플 4,461 ▲2
에이다 1,132 ▲3
스팀 19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380,000 ▼220,000
비트코인캐시 788,500 ▼500
이더리움 5,910,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32,260 ▲50
리플 4,463 ▲4
퀀텀 3,050 ▼5
이오타 29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