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예산정책처ㄷ가 발표한 '산업통상자원부 내년도 예산안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국내 중소·중견 원전 수출기업의 수출보증을 지원하기 위해 해외원전 사업에 특화된 '수출보증보험'을 신설하고, 내년도 예산안에서 250억원을 신규 편성했다.
내년도 독자 해외 원전설비 수주액 전망(8천40억원)은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가 지난 8월 원전기업들을 대상으로 수출 추진 현황을 조사한 것으로, 2017∼2021년 우리나라의 원전설비 수출계약액 총 5억3천만달러(143건)보다 16.45% 증가한 수치다.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 등 국내 원전 공기업이 수주한 원전 프로젝트의 협력 업체이거나, 원전 기자재 업체의 독자적인 원전설비 수출 프로젝트가 지원 대상이 된다.
산업부는 내년도 수주 목표(8천억원) 중 약 2천억원 규모에 대해서는 발주사와 계약 관련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집트 엘다바 원전 2차 건설,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원전 삼중수소제거설비, 튀르키예 아큐원전 설비수출 등 이미 수주한 사업만으로도 1천320억원의 보증수요를 충당한 데 이어 '플러스 알파'의 수출도 기대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현 정부가 적극적으로 원전수출 정책을 추진하면서 발주사와의 수출 협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250억원의 출연금 예산 규모는 적정하다는 설명이다.
다만 예산정책처는 "다소 낙관적 전망에 근거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예산정책처는 "정부의 적극적인 원전 수출 정책에도 불구하고 국내 원전 기자재 업체가 단기간에 지난 5년(2017∼2021년)의 수출계약액을 크게 넘어서는 수출 계약을 체결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며 "수출보증공급에 필요한 출연금 예산 규모의 적정성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수주 사업의 국내기업 수주율과 신규 수주 사업의 계약율을 극히 보수적으로 가정해 산정하더라도 약 2천120억원의 보증수요 발생이 예상된다"며 "출연금 예산 규모는 적정하다"고 강조했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lss@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