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0.21(화)

원익IPS, AI 투자 사이클 본격화에 "다시 주도주 시대"

SK증권, 목표주가 7만원 상향... "2026년 메모리 투자 폭발적 증가 전망"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0-21 10:17:21

원익IPS, AI 투자 사이클 본격화에 "다시 주도주 시대"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반도체 장비 업체 원익IPS가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따른 메모리 반도체 투자 사이클 본격화로 업계 내 주도주로 재부상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SK증권은 21일 원익IPS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5만 5,000원에서 7만 원으로 27% 상향 조정했다.

이동주 SK증권 연구원은 원익IPS의 3분기 매출액을 2,450억 원(전분기 대비 1%,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 영업이익 257억 원(전분기 대비 29% 감소,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으로 추정했다. 2분기와 유사한 매출 수준에도 디스플레이 매출 확대에 따른 제품 믹스 영향으로 수익성은 소폭 감소할 전망이지만, 실적은 시장 기대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수준이다.

이 연구원은 "시선은 3분기보다는 4분기 그리고 2026년에 대한 전망으로 옮겨가고 있다"며 "4분기부터는 국내 주요 고객사의 신규 투자 효과가 반영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 2021년 이후 분기 첫 3,000억 원대 매출 달성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AI 클러스터 구축에 대한 투자 규모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지면서 메모리 반도체 투자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AI 클러스터당 GPU 수요는 100만 개 이상이 추세로 자리 잡고 있으며, 구축 비용만 수십조 원이 소요된다. 데이터센터 투자는 2028년 1조 달러(약 1,400조 원)까지 늘어나며, 4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24%에 달할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이번 사이클은 과거 클라우드 투자 사이클과 비교해 성장률은 유사한 수준인 반면, 투자 규모는 압도적으로 크다"고 설명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AI 투자가 Scale-up(고성능 서버 집중 투자) 구간에서 Scale-out(일반 서버 확대) 구간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것이다.

Scale-up 구간에서 고대역폭 메모리(HBM)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Scale-out 구간에서는 범용 DRAM에 대한 수요도 가파르게 증가한다. AI 클러스터 확장이 시작되면서 일반 서버에 대한 투자가 본격화되고, 이는 범용 메모리 수요 증가로 직결된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2026년과 2027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DRAM 투자 규모는 예상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 평택 P4 라인의 공정 장비 배치는 현재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며, 내년 연말까지 팹 전체 운용 기반이 구축될 것으로 보인다. 2027년 증설을 대비한 P5 골조 공사도 내년 초 개시된다. SK하이닉스 역시 M15X 투자와 함께 기존 팹의 라인 효율화 작업을 최대치로 끌어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원은 "양사를 고객으로 보유한 원익IPS의 수혜는 명확하며, 실적에 대한 기울기 역시 업종 내에서도 가파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SK증권은 2026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대비 27% 상향 조정했다. 2026년 매출액 1조 3,120억 원(전년 대비 43% 증가), 영업이익 1,720억 원(전년 대비 95% 증가)을 예상한다.

이 연구원은 "7~9월 주도주를 시작으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전반에 걸친 키 맞추기가 나타났다"며 "실적 추정치 상향 조정이 시작되는 시기로, 다시금 주도주 성격의 업체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익IPS의 시가총액은 2조 7,190억 원이다. 주요 주주로는 원익홀딩스(외 5인)가 32.99%, 삼성전자(외 1인)가 7.54%를 보유하고 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823.84 ▲9.15
코스닥 872.50 ▼3.27
코스피200 535.28 0.00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397,000 ▲807,000
비트코인캐시 718,000 ▲5,500
이더리움 5,880,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060 ▲140
리플 3,662 ▲4
퀀텀 2,975 ▲3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535,000 ▲894,000
이더리움 5,885,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070 ▲140
메탈 762 ▲3
리스크 331 ▲3
리플 3,670 ▲10
에이다 981 ▲8
스팀 13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480,000 ▲960,000
비트코인캐시 719,000 ▲4,500
이더리움 5,88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090 ▲170
리플 3,665 ▲7
퀀텀 2,946 ▲32
이오타 21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