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설 '발해, 새벽의 제국'은 고구려 유민이 격동의 국제정세 속에서 제2의 제국을 일으키는 과정을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대조영과 걸사비우, 대걸걸중상 등 실존 인물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전쟁·망명·분열·재건을 관통하는 발해 건국기의 핵심 장면을 서사적으로 재구성했다. 안시성 전투 이후 무너진 고구려 세력이 어떻게 하나의 국가로 다시 일어서는지를 여러 인물의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그린 것이 특징이다.
소설의 서사는 긴박하다. 천문령 전투, 이동과 망명, 유민 규합, 건국의 정치적 협상 과정이 군더더기 없는 문장으로 이어진다. 전쟁의 감정과 생존의 두려움, 지도자의 결단을 교차 배치하며 ‘폐허에서의 창건’이라는 주제를 강화했다.
책을 집필한 소설가 안지상은 고고학 자료와 남아 있는 사료를 토대로 발해사의 주요 논점을 문학적으로 해석했다. 사료가 부족한 시대라는 한계를 고려해, 기록되지 못한 공백을 신중한 상상력으로 채우며 건국기의 긴장감과 감정선을 강화했다. 소설 전반에는 당·발해·신라·돌궐 등 동아시아 정세를 시각화한 지도와 연표도 포함돼 독해를 돕는다.
책을 펴낸 도서출판 미다스북스 관계자는 “'발해, 새벽의 제국'은 오랫동안 주변부에 머물렀던 발해의 역사를 중심 무대로 끌어오는 작품”이라며 “역사소설이면서도 시대를 관통하는 질문을 던지는 서사”라고 책을 소개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