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21(월)

유·초등·특수학교 모든 통학버스, '갇힘사고 방지장치' 설치

박주영 CP

2018-09-03 12:40:23

[키즈TV뉴스 박주영 기자] 이르면 올 연말까지 전국 유치원, 초등·특수학교의 모든 통학버스에 모든 어린이가 하차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설치된다. 어린이 통학버스 내 갇힘 사고를 예방한다는 취지다.

교육부는 '잠자는 아이 확인(Sleeping Child Check)장치', '동작감지센서', '안전벨' 등 안전 확인 장치 설치 예산으로 총 46억원을 연내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에 지원한다고 2일 밝혔다.

서울 성동구 관계자들이 지난 7월31일 관내 유치원 통학버스에 차량 갇힘 사고 예방 시스템을 부착하고 있다. (사진=성동구)

서울 성동구 관계자들이 지난 7월31일 관내 유치원 통학버스에 차량 갇힘 사고 예방 시스템을 부착하고 있다. (사진=성동구)


설치 대상은 전국 국·공·사립유치원과 초등·특수학교에서 운영 중인 통학버스 1만5000여대다. 차량 한 대당 지원되는 설치비는 30만원이다.

현행 도로교통법 53조에 따르면 어린이 통학버스 운전자와 동승자는 탑승한 어린이가 하차했는지, 차 안에 남겨진 어린이가 없는지 확인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위반했을 때 받는 처벌은 20만원 이하의 과태료에 그쳐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았다.

교육부는 학원의 경우 학원총연합회 및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자율적으로 어린이 안전 확인 장치를 설치하도록 하되, 특히 3~5세 유아가 탑승하는 통학버스에는 하반기 내 우선적으로 도입할 것을 권고할 계획이다.

어린이 통학버스 내 갇힘 사고를 예방하고 위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대처능력을 기르기 위해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체험형 안전교육도 강화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통학버스에 갇힐 경우 스스로 안전띠를 풀고 경적을 울리거나 안전벨을 누르는 방법 등을 체험하는 ‘찾아가는 안전체험교육’을 확대·강화할 예정이다. 교직원에 대해서는 안전교육 직무연수 시 교통안전 교육을 강조하고 교직원 간 통학버스 안전교육 방안을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류정섭 교육안전정보국장은 "어른들의 부주의로 어린이들이 피해를 입는 안타까운 사고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도교육청에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박주영 기자 news@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2.80 ▲14.73
코스닥 818.54 ▼2.13
코스피200 433.62 ▲2.5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587,000 ▲647,000
비트코인캐시 730,000 ▲3,000
이더리움 5,135,000 ▲39,000
이더리움클래식 33,540 ▲210
리플 4,751 ▼3
퀀텀 3,527 ▲4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615,000 ▲582,000
이더리움 5,132,000 ▲36,000
이더리움클래식 33,470 ▲150
메탈 1,172 ▲8
리스크 677 ▲6
리플 4,748 ▼5
에이다 1,185 ▲3
스팀 215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670,000 ▲720,000
비트코인캐시 730,500 ▲3,500
이더리움 5,135,000 ▲45,000
이더리움클래식 33,530 ▲240
리플 4,752 ▼3
퀀텀 3,514 ▲34
이오타 33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