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뉴시스 제공
정신질환 강력범죄자는 2014년 3733명, 2015년 4061명, 2016년 4889명 등 매년 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공개하는 질병과 의료서비스 관련 자료에 따르면 조현병 환자의 수도 2014년 11만 4732명, 2015년 11만 7352명, 2016년 11만 9162명 등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체 정신질환 증상을 보이는 모집단 자체가 커지면서 이들의 범죄도 자연스레 늘어난 것이라는 해석을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정신과 전문의 등 전문가들은 “적절한 치료가 이뤄진다면 조현병 환자의 범죄 위험이 94%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현병자들의 강력 범죄 사고가 잇따르면서 일반 정신질환 환자와 가족들도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조현병 환자 수는 50만 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지만 대부분 숨기고 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잠재적 범죄자라는 낙인이 찍힐까 두려운 것이 그 이유다.
JTBC 보도에 따르면, 전체 강력범죄 중 조현병 환자 범죄 비율은 0.04%다.국내 조현병 환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해 고스란히 가족들의 몫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전문가는 조현병이 약물로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며 사회 기술, 지역 사회적응 등을 도울 수 있는 관리자가 외국에 비해 매우 부족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news@kidstvnews.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