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교학력평가 / 사진제공=연합뉴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서울 주요 16개 대학이 2023학년도 대입 전형에서 수능 위주 정시 전형으로 신입생을 40% 이상 선발한다고 발표했다.
이미 연세대, 고려대는 2022학년도부터 정시 40% 비율을 달성했다. 서울대, 성균관대, 중앙대, 경희대, 숭실대 등도 2023학년도부터 정시 비율을 40% 이상 늘린다.
이로써 주요 16개 대학의 수능 위주 정시 선발 인원은 2022학년도 총 1만 9,295명에서 2023학년도 2만 2,011명으로 1,715명 늘어났다.
수능에서 강세인 특수목적고(특목고)나 자율형 사립고(자사고) 학생, 반수생, 재수생 등이 일반고 재학생보다 더 유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서울대는 2023학년도부터 학교생활기록부를 정시에 반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특목고, 자율형사립고(자사고) 등 일반고보다 내신 성적에서 비교적 불리한 학교 학생들은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
정시 비중이 늘어난 상황에서 학생들은 어떻게 대입을 준비해야 할까?
입시전문가들은 정시 비중이 40% 이상으로 늘었어도 여전히 수시가 60%를 차지하기 때문에 수능·내신의 성적 균형을 고려해 공부할 것을 추천한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지나치게 내신 중심으로 운영해왔던 학교는 수능과 내신의 균형을 맞추고 수능과 비슷한 수준으로 학교 시험을 출제해 학교 수업을 잘 들으면 수능도 잘 본다는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차진희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