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5.10(토)

생활비 줄었는데 물가는 고공행진...중동 불안에 더 오를까

이성수 CP

2023-10-23 08:01:31

(사진=연합)

(사진=연합)

이미지 확대보기
올해 2분기에 가구 소득은 2%이상 줄고, 외식 등 먹거리 물가는 7% 넘게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와 고금리에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않은 상황에서 중동 불안까지 겹쳐 물가 상승 압력은 더 거세질 전망이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전체소득에서 이자 세금을 뺀 금액)은 평균 383만1천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8% 감소했다. 고금리로 여윳돈이 줄어든 탓이다.

주머니 사정은 나빠졌지만 먹거리 물가의 상승세는 가팔라지고 있다.

소비자물가지수에서 대표적인 먹거리 지표로 꼽히는 가공식품·외식의 2분기 물가 상승률은 각각 7.6%, 7.0%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3.2%)의 두배를 넘었다.
가공식품 세부 품목별로 물가 상승률을 보면 잼이 33.7%, 드레싱(32.3%), 치즈(23.0%), 맛살(22.3%), 물엿(20.8%), 어묵(20.6%) 등 순이었다.

또 라면(12.9%), 발효유(12.6%), 두유(11.6%), 커피(11.5%), 빵(11.4%), 스낵 과자(10.7%), 생수(10.1%) 등은 10% 선을 웃돌았다. 우유와 아이스크림도 각각 9.0%, 8.6%로 높은 편이었다.

가공식품 73개 세부 품목 중 70개는 물가 상승률이 플러스(+)다. 처분가능소득이 2.8% 줄었을 때 가공식품 세부 품목의 95.9%는 물가가 오른 것이다.

외식도 세부 품목 39개 모두 물가가 올랐다.

햄버거 물가는 12.3%, 피자도 11.9% 상승했다. 김밥(9.6%), 삼계탕(9.3%), 라면(외식)(9.2%), 돈가스(9.0%), 떡볶이(8.7%), 소주(외식)(8.3%), 구내식당 식사비(8.2%), 자장면(7.9%), 맥주(외식)(7.6%), 칼국수(7.2%), 냉면(7.1%) 등도 높은 편이었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 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 자장면 한 그릇 가격은 7천69원으로 처음 7천원 선을 돌파했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1분기 9.9%, 2분기 7.6%, 3분기 6.3%로 둔화했고 외식은 1분기 7.5%, 2분기 7.0%, 3분기 5.4%로 상승 폭이 줄었다.

최근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5% 선을 넘긴 가운데 고금리가 장기화하면 앞으로 살림살이는 더 빠듯해질 전망이다. 여기에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으로 국제유가가 크게 오르면 원료·물류비 부담 가중돼 먹거리 가격 인상 압박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편, 한훈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지난 20일 식품업계 대표 및 임원들과 간담회를 열고 "일부 원료 가격 상승에 편승한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 물가 안정에 적극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lss@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77.27 ▼2.21
코스닥 722.52 ▼7.07
코스피200 341.49 ▲0.20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869,000 ▼54,000
비트코인캐시 586,500 ▼1,000
이더리움 3,327,000 ▼41,000
이더리움클래식 27,130 ▼280
리플 3,326 ▼17
이오스 1,375 ▲18
퀀텀 3,524 ▼3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699,000 ▼148,000
이더리움 3,326,000 ▼36,000
이더리움클래식 27,150 ▼220
메탈 1,261 ▼19
리스크 775 ▼8
리플 3,324 ▼16
에이다 1,108 ▼10
스팀 221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860,000 ▼80,000
비트코인캐시 587,000 ▼500
이더리움 3,325,000 ▼38,000
이더리움클래식 27,140 ▼240
리플 3,323 ▼20
퀀텀 3,538 ▼22
이오타 34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