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경상수지는 40억6천만달러(약 5조3천49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1∼11월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274억3천만달러로 계산됐다. 2022년 같은 기간(271억5천만달러)보다 약 3억달러 많은 수치다. 다만 한은의 2023년 연간 경상수지 흑자 규모 전망치(300억달러)보단 약 30억달러 부족하다.
항목별로는 상품수지(70억1천만달러)가 4월 이후 8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고, 10월(53억5천만달러)과 비교해 흑자 폭도 더 확대됐다.
승용차(+22.9%)·반도체(+10.8%)·화학공업제품(+2.6%) 등이 호조를 보였고, 지역별로는 미국(+24.7%), 동남아(+11.7%), 일본(+11.4%)으로의 수출이 뚜렷하게 회복됐다.
반면 수입(494억5천만달러)은 8.0% 감소했다. 특히 에너지 수입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원자재 수입이 전년 같은 달보다 13.2% 줄었다.
반도체 제조장비(-28.2%)·반도체(-23.9%) 등 자본재 수입도 11.7% 줄었고, 승용차(-26.3%)·곡물(-23.4%) 등 소비재 수입 역시 6.2% 감소했다.
서비스수지는 21억3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10월(-12억5천만달러)이나 작년 11월(-7억4천만달러)과 비교해 적자 폭이 커졌다.
이는 동남아와 중국으로부터 방한 여행객이 줄어든 가운데 출국자 수는 늘어나면서 여행수지 적자(-12억8천만달러)가 10월(-6억4천만달러)보다 확대된 영향이다.
하지만 10월 27억7천만달러 흑자였던 본원소득 수지는 11월 1억5천만달러 적자를 봤다. 해외 분기배당 지급이 크게 늘어 배당소득 수지가 18억7천만달러 흑자에서 8억1천만달러 적자로 전환한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lss@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