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업계에 따르면 '위치'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은 차세대 통신, 자율주행, 인공지능(AI), 로봇 등 미래 기술의 핵심인 '초연결' 시대의 핵심 기술로 떠오르며 삼성이 신시장으로 주목하고 있다.
GNSS 장비로 정의되는 소비자 장비 분야(Consumer Equipment)와 서비스 분야 통틀어 다운스트림 시장 규모가 1500억 유로(약 200조원)에 이르고 있다.
실제로 한 매체는 삼성전자가 미국 반도체 법인 내 연구개발(R&D) 조직인 '로케이션 그룹(Location Group)'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및 모뎀 그룹 산하로 편입하고, GNSS(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 기술 인력 보강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2011년 미국 퀄컴을 시작으로 브로드컴 등이 GNSS 칩셋을 내놓으며 멀티 위치정보 시대가 본격화했다. 삼성전자는 2016년 4개 위성망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싱글 다이 쿼드 위성단 리시버를 처음 출시했고, 2021년에는 쿼드 GNSS를 지원하는 세계 최초 5G 차량용 프로세서 'T5123'을 선보였다.
AP위성은 GNSS(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 등 위성기반의 사업에서는 국내 탑을 달리고 있다. 기술에 대한 진입장벽도 높아 독과점 시장 체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AP위성은 이미 수주한 다목적실용위성6호 탑재체 데이터링크 및 위성체 전기지상지원장비(EGSE)를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 차세대중형위성1호, 2호 표준탑재컴퓨터 개발 사업을 수주한 이후에 다목적실용위성 7호의 탑재체 기기자료처리장치와 달 탐사 시험용 궤도선 본체 전장품 설계 및 개발, 군정찰위성인 EO/IR위성의 탑재체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또 그 동안 국가우주개발사업 참여를 통해 확보한 전문적 기술과 풍부한 경험을 토대로 군정찰 위성 사업에도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우주품질 경영시스템(AS9100) 인증 및 우주용 제품 제작을 위한 작업자 인증(ESA Cert.)을 계속 유지 및 확대하고 우주급 제작공정을 구축함으로써 사업 가능분야를 더욱 확대해 나가고 있다.
글로벌에픽 증권팀 박진현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