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반도체 중심도시로 급부상하면서 시 전역의 임야나 농지를 대상으로 소규모 산업단지나 지구단위계획 등 다양한 개발사업을 진행하는 개발사업자들이 정작 아파트나 산단을 분양하고 개발사업 구역 외 기반시설에 대해선 책임감 있게 시공하지 않아 개통이 지연되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등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이다.
시는 앞으로 개발사업을 인허가할 때 구역 외 전반적인 기반시설에 대해 개발사업자와 위수탁 협약을 체결, 민간 자본을 활용해 신속하게 공사를 진행하고 공사엔 지역 자원을 적극 활용해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도록 할 방침이다.
지금까지는 도시개발사업과 산업단지, 물류단지 등 구역외 기반시설 중 선별적으로 위수탁 사업을 진행했다.
시는 앞으로 위수탁 대상 사업을 확대 시행하면 2027년엔 55건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세외수입으로 거둬들이는 위탁 수수료만 57억원이나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올해 22건에 대한 위탁수수료는 6억원이다.
이를 위해선 ‘용인시 위수탁기반시설 설치에 관한 운영 지침’ 개정이 선행돼야 하는 만큼 시는 내년 상반기 내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별개로 시는 시가 발주한 공사와 민간이 추진하는 대형건설사업장을 정기적으로 점검해 지역 업체 참여율을 확인하고 ‘용인시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시공사나 조합 등에 지역 근로자 고용과 지역 업체 장비‧자재 활용을 적극 권장할 방침이다.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도록 공사에 투입되는 자재와 장비, 인력 등을 지역 업체나 인재를 우선 발주‧채용한다.
올해 11월 말 기준 시가 수의계약으로 발주한 토목‧전기 등 다양한 공사 376건 중 86%인 324건이 지역 업체와 계약됐다. 또 시가 발주한 공사 중 주요 도로 사업에는 84%의 지역 장비가 활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정훈 글로벌에픽 기자 smedail@daum.net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