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조직개편은 지난달 리츠, 펀드, 부동산신탁 각 부문별 각자대표체제 개편에 이은 후속 조치로 조직별 전문성을 높이면서 업무 간 연계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ONE KORAMCO’전략의 일환이다.
우선 코람코자산신탁 리츠부문은 기존 리츠1, 2, 3, 개발부문 등으로 나뉘었던 부문구성을 리츠투자부문과 가치투자부문으로 양분하여 조직을 단순화했다. 또한 부문 내 팀 구조도 전문성을 기반으로 중복조직을 통합하여 투자조직과 펀딩조직, AM(Asset Management, 자산관리)담당 등을 기능별로 삼원화했다. 이를 통해 실물투자와 자산관리의 전문성을 각각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부동산펀드를 담당하고 있는 자회사 코람코자산운용의 조직도 큰 폭으로 변화했다. 기존 국내부문과 해외부문, 증권부문 등 3개 부문에 더해 전략투자부문을 신설하며 전략자산 투자와 리츠사업 확장에 드라이브를 건다는 계획이다.
코람코자산운용은 미들오피스를 통해 체계적인 투자지원은 물론, 조직전문성을 대폭 강화해 부동산 전문운용사로서의 체급을 한 단계 높여 경쟁사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전사 경영조직도 강화된다. 과거 별도로 존재했던 기술실, 법무실, 인재개발실, ESG전략팀 등이 경영부문으로 통합되어 더욱 체계적인 영업지원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이미 코람코는 동종업계에서 가장 효율적인 경영조직이 갖춰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와 함께 높은 준법수준과 선관주의 의무로 정평이 났다. 하지만 글로벌사업 확장을 위해 강도 높은 경영지원조직 개편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코람코는 올해 상업용 부동산시장에 대해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완만한 회복세가 기대된다’고 낙관적 전망을 제시한 바 있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본격화됐고 글로벌 경제여건도 바닥을 통과했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코람코는 이번 조직 개편으로 신규 투자수요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보유자산 가치를 높여 부동산투자업계에서의 지배력을 한층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코람코자산신탁 정승회 대표이사는 “국내외 투자환경은 여전히 불확실하지만 코람코는 어떠한 경우라도 투자자를 위해 성과를 만들어 내는 투자플랫폼”이라며 “어려울수록 내실을 다지고 질적 성장을 이뤄 다시 한 번 부동산투자시장에서 ‘ONE KORAMCO’의 선도적 입지를 증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01년 설립된 코람코자산신탁은 국내 민간 리츠시장에서 약 20%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이 부문 1위 운용사다. 부동산신탁업과 함께 자회사 코람코자산운용을 통해 부동산펀드 사업도 영위하고 있다. 생활문화기업 LF가 대주주이며 키움증권, 우리은행, 한국산업은행, 신한은행 등 국내 주요 금융사가 주요 주주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안재후 글로벌에픽 기자/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