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5.01(목)

[퇴직연금 수익률 대해부 ⑥ DC형 은행] 실적배당형 12.83% 하나은행 최고 우리은행-농협 중하위권 머물러

원리금보장형 대형은행 상위권 포진

손성동 연금전문 CP

2025-02-04 13:29:10

[퇴직연금 수익률 대해부 ⑥ DC형 은행] 실적배당형 12.83% 하나은행 최고 우리은행-농협 중하위권 머물러


은행권 DC형 퇴직연금의 경우 원리금보장형 상품(이하 원리금 보장형)은 대형은행이 상위권을 형성했으면 실적배당형 상품(이하 실적 배당형)은 하나은행이 1위를 차지했다.

2024년 12월 말 기준으로 은행권 DC형 상품의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원리금보장형은 제주은행이 3.69%로 수위를 차지했으며 신한은행(3.63%), 하나은행(3.49%), 국민은행(3.45%)이 뒤를 이었다. 적립금 규모가 미약한 제주은행을 제외하면 대형 시중은행이 상위권에 포진하고 있는 것이다. 12개 은행이 모두 3%대의 수익률을 기록해, 수익률 편차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립금 규모는 기업은행이 12조592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국민은행(11조8106억), 신한은행(11조2887억)이 그 뒤를 이었다.
실적배당형 수익률은 12.83%를 기록한 하나은행이 1등을 차지했으며 신한은행(10.55%), 국민은행(10.49%), 경남은행(10.35%)이 10%대 수익률을 기록했다. 대형 시중은행 중 우리은행은 9.79%로 11개 은행 중 6위, 농협은행은 7.32%로 9위를 차지했다. 1등인 하나은행과 최하위인 iM뱅크의 수익률 격차는 8.45% 포인트에 달했다.

적립금은 국민은행이 2조 4388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신한은행 2조3195억원, 하나은행 1조8157억원, 기업은행 1조3816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우리은행은 1조988억원으로 중위권에 랭크됐다.

[퇴직연금 수익률 대해부 ⑥ DC형 은행] 실적배당형 12.83% 하나은행 최고 우리은행-농협 중하위권 머물러


용어설명=DC형(확정기여형) 퇴직연금

사용자(회사)가 매년 근로자의 연간 임금총액의 1/12 이상을 부담금으로 납입하고 근로자가 직접 적립금을 운용하는 제도다. 근로자가 본인 책임하에 예금, 펀드, ELS 등 다양한 금융상품 중에서 직접 선택해 운용할 수 있고 수익과 손실이 모두 근로자에게 귀속된다. 때문에 운용실적에 따라 퇴직급여가 변동된다. 직장을 옮길 때 계좌 이전이 용이하고 투자성향에 맞는 자산운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적절한 투자상품을 선택하려면 금융지식이 필요하고 근로자가 리스크를 부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손성동 연금전문 CP /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877,000 ▲237,000
비트코인캐시 528,500 ▲1,000
이더리움 2,611,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3,930 ▲60
리플 3,171 ▲5
이오스 971 ▲5
퀀텀 3,127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959,000 ▲164,000
이더리움 2,611,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3,950 ▼10
메탈 1,208 ▲5
리스크 788 ▲2
리플 3,175 ▲7
에이다 998 ▲3
스팀 21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030,000 ▲250,000
비트코인캐시 529,000 ▲1,000
이더리움 2,61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3,960 ▲80
리플 3,173 ▲7
퀀텀 3,102 0
이오타 29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