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5.25(일)

[주목]하반기 ETF 투자 전략...불확실성 속에서도 차세대 테마 ETF 주목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5-25 10:25:44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글로벌 ETF 시장이 15조 달러 규모로 성장하며 팬데믹 이후 가속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미국 경제의 단기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장기 투자 관점에서 차세대 기술 테마 ETF들이 주목받고 있다.

2025년 1분기 미국 경제성장률이 -0.3%를 기록하며 3년 만에 역성장을 보였지만, 이는 대중 관세 정책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인한 일시적 현상으로 분석된다. 관세 회피를 위한 소비재 수입이 전년대비 55% 급증하면서 무역 부문이 성장률을 하락시킨 것이 주요인이다.

현재 S&P500 지수의 12개월 선행 PER은 20.7배 수준으로 과거 5년 평균(20.1배)과 10년 평균(18.6배)을 상회하고 있어 밸류에이션 부담이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연준의 보수적 통화정책 스탠스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금리 선물시장은 연내 정책금리 인하에 대해 제한적 전망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장기 성장 동력을 보유한 차세대 기술 테마들은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은(Silver) 관련 ETF는 상대적 가격 매력도가 부각되고 있다. 금/은 비율이 기존 상단 레벨을 크게 벗어나 있는 상황에서 은이 귀금속과 산업용 원자재의 이중 성격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양자컴퓨팅 분야는 2030년까지 시장 규모가 수백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기술적 전환점에 도달한 차세대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KIWOOM 미국양자컴퓨팅(498270), SOL 미국양자컴퓨팅TOP10(0023A0) 등 다양한 양자컴퓨팅 테마 ETF가 출시되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소프트웨어 섹터에서는 IGV, IGPT, XSW 등 미국 ETF와 함께 SOL 미국 AI 소프트웨어(481180), KODEX 미국 AI소프트웨어 TOP10(0041D0) 등 국내 ETF들이 생성형 AI와 차세대 소프트웨어 트렌드를 반영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도 AI와 로봇 기술의 융합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 인건비 상승 등 구조적 수요 창출 요인들이 늘어나면서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0038A0) 등 관련 ETF들이 출시되고 있다.

하나증권 박승진 애널리스트는 "현재의 정책 불확실성과 밸류에이션 부담에도 불구하고, 차세대 기술 테마들은 구조적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특히 양자컴퓨팅, AI 소프트웨어, 휴머노이드 로봇 등은 장기 투자 관점에서 포트폴리오 다각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우선주의 정책 기조 하에서 AIRR, PAVE, RSHO 등 미국 내 제조업과 인프라 관련 ETF들도 정책 수혜주로 주목받고 있어, 투자자들은 단기 변동성보다는 장기 구조적 변화에 초점을 맞춘 투자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92.09 ▼1.58
코스닥 715.98 ▼1.69
코스피200 345.28 ▲0.48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369,000 ▼234,000
비트코인캐시 584,500 ▼5,500
이더리움 3,482,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5,230 ▼170
리플 3,219 ▼9
이오스 1,003 ▼3
퀀텀 3,069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409,000 ▼291,000
이더리움 3,483,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5,250 ▼150
메탈 1,111 ▼3
리스크 694 ▼2
리플 3,220 ▼10
에이다 1,026 ▼4
스팀 20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320,000 ▼250,000
비트코인캐시 585,000 ▼5,500
이더리움 3,483,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5,190 ▼160
리플 3,217 ▼12
퀀텀 3,070 ▼36
이오타 28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