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5.28(수)

나노신소재, CNT 도전재 중장기 성장 기반 견고...목표가 6만5,000원 유지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5-27 09:21:33

나노신소재, CNT 도전재 중장기 성장 기반 견고...목표가 6만5,000원 유지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나노신소재가 전방 시장 둔화 속에서도 견조한 성장 기반을 확보하며 2분기부터 점진적인 실적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나노신소재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 223억원(전년동기대비 +0%, 전분기대비 -1%), 영업이익 3억원(전년동기대비 -83%, 흑자전환)을 기록했다.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며 흑자전환했지만 전분기에 이어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은 북미, 유럽 전기차 판매 둔화와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 심화 등의 영향으로 주력 고객사인 국내 배터리 셀 업체들의 출하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난해부터 유럽, 미국 현지 CNT 도전재 공장 신규 가동으로 인해 기존 본업들의 매출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고정비와 판매비 및 관리비가 증가하면서 수익성이 악화되었다.

하지만 나노신소재의 중장기 성장 전망은 여전히 밝다. 최근 동사의 실적은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주력 사업인 CNT 도전재 사업의 중장기 성장 가능성은 상당히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4월 25일, 나노신소재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통해 2030년 매출액 6,000억원, 영업이익률 20% 달성을 목표로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지금까지 주력 고객사는 국내 업체인 SK온(양극/음극)과 LG에너지솔루션(음극) 중심이었지만 지난해부터 삼성SDI향(양극/음극)으로 공급이 본격화됐다. 올해 들어 4곳 이상의 일본, 유럽 배터리 셀 업체들과 신규 공급 계약이 체결되었거나 협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기존 고객사들도 다양한 완성차 OEM향으로 동사의 양극/음극용 CNT 도전재가 적용된 배터리 셀 공급이 시작될 예정이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의 Tesla향 4680, 2170(업그레이드 버전)에 실리콘 음극재가 새롭게 적용된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이로 인해 2분기부터 국내, 미국 공장 중심 가동률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어 올해 CNT 도전재 출하량이 전년 대비 약 60% 증가하고, 2026년에는 성장세가 더욱 가팔라지면서 점진적인 실적 개선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반영한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94억원(전년동기대비 +39%, 전분기대비 +32%), 13억원(전년동기대비 -44%, 전분기대비 +349%)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iM증권 정원석 애널리스트는 "동사에 대한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하나 목표주가는 65,000원으로 하향한다"며 "최근 북미, 유럽 전기차 수요 부진 속에 실리콘 음극재의 본격적인 적용 시점이 예상보다 다소 지연되고 있다는 점을 반영했다"고 분석했다.

나노신소재의 CNT 도전재 사업의 성장 속도는 전방 시장 둔화로 다소 위축된 상황이지만 국내 이차전지 소재 업종 내 가장 안정적인 매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37.22 ▼7.18
코스닥 727.11 ▲1.84
코스피200 351.28 ▼0.83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091,000 ▼447,000
비트코인캐시 579,000 ▼3,000
이더리움 3,706,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26,050 ▼100
리플 3,236 ▼6
이오스 1,063 0
퀀텀 3,140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205,000 ▼521,000
이더리움 3,710,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26,060 ▼120
메탈 1,140 ▲3
리스크 709 ▼3
리플 3,238 ▼3
에이다 1,060 ▼8
스팀 20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030,000 ▼570,000
비트코인캐시 579,000 ▼2,500
이더리움 3,710,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26,070 ▼160
리플 3,235 ▼6
퀀텀 3,087 0
이오타 29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