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02(토)

한미 무역협상 극적 타결 그후..."한국 주식투자 전략!"

"KOSPI 3,300선 돌파 신호탄...조선·반도체 대박, 자동차만 '울상'"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8-01 09:06:25

한미 무역협상 극적 타결 그후..."한국 주식투자 전략!"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한국이 상호관세 부과를 하루 앞두고 미국과 극적으로 무역협상 타결에 성공하면서 국내 증시에 새로운 전환점이 마련됐다. 대미 수출 관세율이 당초 계획 25%에서 15%로 완화되는 대신,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가 성사된 것이다.

협상 내용을 보면 1,500억달러는 '조선협력펀드'로 미국 조선 밸류체인에 투자되고, 나머지 2,000억달러는 반도체, 원전, 2차전지 등 전략산업을 포괄하는 투자펀드로 구성된다. 예상대로 1,000억달러 에너지(LNG) 구입도 포함됐다. 다만 자동차·트럭 시장은 완전 개방된 반면, 협상 쟁점이었던 쌀·소고기 시장 추가 개방은 협정에서 제외됐다.

신한투자증권 노동길 전략팀장은 "이번 협상 타결은 투자심리 개선에 따른 밸류에이션(PER) 상승 요인"이라며 "만일 협상 실패로 25% 관세가 부과됐더라도 공급망의 비탄력적 성격을 고려하면 실적 영향은 6~12개월 지연될 수 있었지만, 투자심리와 PER에는 부정적 요인이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KOSPI는 미일 관세 협정 가능성이 제기된 7월 23일 이후 2.7% 상승했으며, 업종별로는 IT가전, 디스플레이, IT하드웨어, 자동차 등 관세 피해주 중심으로 반등했다. 다만 이익 컨센서스에서는 관세 협정 실패 우려를 마진에 반영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실적 전망 효과보다는 투자심리 개선에 따른 밸류에이션 상승이 주효할 것으로 예상된다.
섹터별 희비는 엇갈렸다. 대미 전략산업 협력 강화로 조선과 반도체가 최대 수혜주로 부상했다. 정부가 밝힌 조선협력펀드는 선박 건조뿐만 아니라 MRO 사업(유지·보수), 조선기자재 등 산업 생태계 전반을 포함한다. 2,000억달러 전략산업 투자도 미국 정부가 프로젝트 산출물 인수 책임을 지면서 수익성 있는 프로젝트에 투입될 전망이다.

반면 자동차는 두 가지 우려에 직면했다. 첫째, 당초 유럽연합 및 일본 대비 2.5%포인트 낮았던 FTA 효과를 누리지 못하게 됐고(일괄 15% 관세율), 둘째로 국내 내수 시장이라는 비과세 장벽을 유지하지 못했다. 여기에 미국 실효 관세율이 18%대로 높은 상황에서 관세 전가에 따른 소비자물가 상승, 실질 소비 감소 등도 부담 요인이다.

지수 전망도 상향 조정됐다. 노동길 팀장은 "8월 전망자료 '안티 모멘텀'에서 밝혔던 예상 밴드 3,100~3,300포인트를 상향 돌파할 재료"라며 "하반기 유동성 랠리에 따른 KOSPI PER이 11.5~12.0배로 예상되는 가운데 8월 전망 상단을 돌파해 등락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전망했다.

업종별로는 소비와 투자를 나눠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대미 투자 관련 산업재와 유틸리티(원전 중심)는 수요 증가가 기대되는 반면, 소비 경기는 관세 인상에 따른 인플레이션 가능성으로 모멘텀 약화를 겪을 수 있다. 연준이 7월 FOMC에서 관세 영향을 언급하며 금리 동결에 나선 점도 변수다.

특히 상호관세 확정으로 제조업의 유통업체 전가 속도가 빨라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2018~2019년 트럼프 1기 무역분쟁 당시 철강, 알루미늄, 구리는 과잉 공급이나 보관비용 부담으로 관세를 전가하기보다 제조업체들이 마진에 반영하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결국 이번 한미 무역협상 타결은 단기적으로는 투자심리 개선과 PER 상승을 통한 지수 상승 요인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대미 투자 밸류체인과 AI 투자 사이클 수혜주 중심의 선별적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19.41 ▼126.03
코스닥 772.79 ▼32.45
코스피200 420.72 ▼17.88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547,000 ▲347,000
비트코인캐시 755,500 ▲9,500
이더리움 4,872,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7,760 ▲80
리플 4,138 ▲14
퀀텀 2,864 ▲3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699,000 ▲519,000
이더리움 4,881,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7,790 ▲150
메탈 996 ▲5
리스크 568 ▲4
리플 4,144 ▲18
에이다 1,003 ▲6
스팀 18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700,000 ▲490,000
비트코인캐시 755,500 ▲9,500
이더리움 4,877,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7,780 ▲100
리플 4,142 ▲12
퀀텀 2,817 0
이오타 25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