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01(월)

대성파인텍, 모노리스 합병으로 '자동차부품+테마파크' 융합 신성장동력 확보

대성파인텍, 모노리스 합병으로 '자동차부품+테마파크' 융합 신성장동력 확보

신승윤 CP

2025-08-31 16:33:03

대성파인텍, 모노리스 합병으로 '자동차부품+테마파크' 융합 신성장동력 확보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자동차 부품 및 태양광 설비 제조업체 대성파인텍(대표 김병준, 김종석, 코스닥 104040)이 '9.81파크' 개발사 모노리스와의 합병 절차를 모두 완료하고 통합 법인을 공식 출범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합병을 통해 대성파인텍은 자동차 부품 제조에서 테마파크 지식재산권(IP) 사업으로 사업 영역을 대폭 확장하며, 기업가치가 기존 약 500억 원에서 약 1600억 원 수준으로 3배 이상 확대될 전망이다. 합병 비율은 약 1:3.1로 책정됐으며, 대성파인텍은 합병 신주 상장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게 된다.

양대 사업부 체제로 전문성 극대화

대성파인텍은 합병 직후부터 자동차 부품 제조를 담당하는 '자동차 사업부'와 테마파크 IP 개발·운영을 전담하는 '모노리스 사업부'로 조직을 재편했다. 대성파인텍 설립자인 김병준 대표가 자동차 사업부를, 모노리스 설립자인 김종석 대표가 모노리스 사업부를 각각 총괄하는 각자대표 체제로 운영하여 각 분야의 전문성을 살리면서도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진한다.
양사는 지난 5월 이사회 결의를 통해 합병을 공식화한 뒤, 약 3개월간의 철저한 준비 과정을 거쳐 안정적으로 합병을 마무리했다. 대성파인텍은 파인블랭킹(Fine Blanking) 금형 및 정밀 기계 가공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완성차 업체에 부품을 납품해온 안정적인 제조 기반을 보유하고 있으며, 모노리스는 로보틱스 및 ICT 기술을 접목한 테마파크 어트랙션 개발과 운영에 특화된 기업이다.

9.81파크 제주, '현실판 마리오카트'로 큰 인기

모노리스가 운영하는 '9.81파크 제주'는 세계 최초의 스마트 레이싱 테마파크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중력 가속도(9.81m/s²)만을 이용한 친환경 레이싱을 즐길 수 있는 혁신적인 공간이다. 제주시 애월읍에 위치한 이 테마파크는 애월 바다와 한라산 사이의 4만2천 평 부지에 조성되어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을 온전히 경험할 수 있다.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GR(Gravity Racer) 차량 3종과 4개 코스, 총 10개 트랙의 레이스 코스에서 최고속도 60km/h까지의 짜릿한 레이싱을 체험할 수 있어 '현실판 마리오카트'라는 별칭을 얻으며 MZ세대와 가족 단위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제주도 수학여행의 필수 코스로 자리매김하며 월평균 10만 레이싱에 육박하는 높은 이용률을 기록하고 있다.

9.81파크는 레이싱 외에도 360도 회전이 가능한 하늘그네, 실내 레이저 태그 서바이벌 게임, 범퍼카 등 다양한 액티비티와 로봇 바리스타 카페, 브랜드 스토어 등 풍부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2024년 기준 모노리스제주파크는 매출 162억 원, 영업이익 16억 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익 창출 능력을 입증했다.

9.81파크 인천공항, 2027년 개장 목표로 추진 가속화
대성파인텍은 이번 합병을 기점으로 2027년 개장을 목표로 하는 '9.81파크 인천공항' 조성 사업에 더욱 속도를 낼 계획이다. 총 사업비 850억 원이 투입되는 이 프로젝트는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인근 부지에 연간 200만 명 규모의 이용객을 수용할 수 있는 신개념 테마파크로 개발된다.

이는 연간 약 8천만 명에 달하는 인천국제공항 이용객들에게 싱가포르 창이공항의 '주얼창이'와 같은 높은 수준의 복합문화 체험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공정률 14%를 기록하며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제주의 2배 규모로 조성되어 제주 대비 2배 수준의 매출이 예상된다.

차세대 슈퍼커패시터 기술로 신재생에너지 시장 진출

대성파인텍이 자체 개발한 고전압·대용량 '슈퍼커패시터' 기술은 이번 합병의 핵심 성장동력 중 하나다. 기존 화학 배터리의 단점을 극복한 이 신기술은 에너지 밀도를 기존 대비 4배 이상 높이고 자가 방전율을 대폭 개선했다.

슈퍼커패시터는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배터리와 달리 전극과 전해질 계면의 단순한 이온 이동이나 표면화학반응에 의한 충전현상을 이용해 급속 충방전이 가능하고, 반영구적인 수명(약 10만 사이클)을 자랑한다. 발열과 발화 위험이 적고 저온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하여 기존 화학 배터리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보완한다.

마켓앤마켓츠(MarketsandMarkets)에 따르면 글로벌 슈퍼커패시터 시장은 2024년 약 12억 달러(약 1조 6200억 원) 규모에서 연평균 12% 이상 성장하여 2029년에는 21억 달러(약 2조 8350억 원)를 넘어설 전망이다. 재생에너지 및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가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성파인텍은 창원 공장에 슈퍼커패시터 시제품 생산을 위한 양산 설비 구축을 완료하고, 향후 9.81파크 중력 레이싱 차량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전환에도 슈퍼커패시터를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기차, 드론, 방산장비, ESS(에너지저장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재생에너지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프랜차이즈 사업 확장으로 K-테마파크 선도

합병을 통해 확보된 통합 운영 체계를 바탕으로 대성파인텍은 국내를 넘어 글로벌 테마파크 프랜차이즈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자동차 부품 개발 및 생산에 특화된 기술력과 모노리스의 테마파크 IP 및 운영 노하우를 결합하여 부품 제작부터 조립, 품질관리, 유지보수까지 일괄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디즈니, 유니버설 등 글로벌 대형 IP 사업자들과의 경쟁에서 한국형 IP와 첨단 기술을 무기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9.81파크의 독창적인 중력 레이싱 개념과 ICT 기반 스마트 운영 시스템을 해외로 수출하여 'K-테마파크'의 글로벌 확산을 이끌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수익 구조 다각화로 안정적 성장 기반 마련

이번 합병을 통해 대성파인텍은 기존 자동차 부품 제조업에 의존했던 단일 수익구조에서 벗어나 테마파크 IP 및 어트랙션 운영 사업이라는 새로운 성장축을 확보했다. 자동차 부품 사업의 안정적인 매출 기반과 테마파크 사업의 높은 성장 가능성을 결합하여 위험을 분산시키면서도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포트폴리오를 완성했다.

합병 이후 모노리스의 완전자회사 2곳의 실적이 대성파인텍 연결실적에 반영되면서 재무적 수익구조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테마파크 사업의 특성상 초기 투자비 회수에는 시간이 필요하지만, 한번 안착하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경영진 "글로벌 시장에서 독보적 경쟁력 확보"

김종석 모노리스 사업부 대표는 "이번 합병 과정에서 양 사업부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대해 많은 분들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려주셔서 감사한 마음"이라며 "한국형 IP와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테마파크를 차세대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으로 키워나가는 모노리스 지향점과 안정적인 어트랙션 제조 기술과 생산 역량을 보유한 대성파인텍의 노하우가 결합돼 글로벌 시장에서 K-테마파크 기업으로서의 독보적 행보를 이어 나갈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김병준 자동차 사업부 대표는 "이번 합병으로 대성파인텍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융합된 기술 결합체로서 한층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합병을 통해 확보한 신규 성장동력을 토대로 긍정적 요소들을 다수 발굴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요소들이 주주 가치 증대로 온전히 이어질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쏟겠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합병이 전통적인 제조업과 체험형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성공적인 융합 사례가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특히 대성파인텍의 안정적인 제조 기반과 모노리스의 창의적인 콘텐츠 기획력이 결합되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다.

다만 테마파크 사업의 특성상 대규모 초기 투자와 장기간의 투자 회수 기간, 그리고 글로벌 대형 IP 사업자들과의 치열한 경쟁 등의 과제도 남아있어 향후 실행 전략이 성공의 열쇠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 kiss.sfws@gmail.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6.01 ▼10.31
코스닥 796.91 ▼1.52
코스피200 430.12 ▼1.69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061,000 ▲216,000
비트코인캐시 756,000 ▼4,500
이더리움 6,214,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9,200 ▼60
리플 3,902 ▼7
퀀텀 3,82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074,000 ▲349,000
이더리움 6,216,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9,180 ▼70
메탈 1,007 ▲4
리스크 525 ▲3
리플 3,900 ▼6
에이다 1,142 ▼2
스팀 180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160,000 ▲350,000
비트코인캐시 756,500 ▼5,000
이더리움 6,21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9,220 ▼90
리플 3,904 ▼5
퀀텀 3,824 ▼25
이오타 26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