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04(목)

[3일 마감]악재 속에서도 선방한 한국 증시, 0.4% 상승 마감

KOSPI 3,184.42(+0.38%), KOSDAQ 796.81(+0.35%) 기록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9-03 22:25:03

[3일 마감]악재 속에서도 선방한 한국 증시, 0.4% 상승 마감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3일 국내 주식시장이 대내외 불안 요인에도 불구하고 소폭 상승하며 장을 마감했다. KOSPI는 전 거래일 대비 0.38% 오른 3,184.42로, KOSDAQ은 0.35% 상승한 796.81로 각각 마감했다.

미국 시장은 노동절 휴장을 지나 9월 첫 거래일을 맞았지만, 유럽의 정치·재정 불안과 관세 위법 논란, 연준 중립성 우려 등 복합적 악재가 반영됐다. 특히 장기금리가 4.3%에 근접하면서 금리 부담이 가중되고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심리가 후퇴한 상황이다.

아시아 주요 증시들이 일제히 부진한 모습을 보인 가운데 한국 증시의 선방이 돋보였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0.9%,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5%,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는 0.8% 각각 하락했지만, 한국은 대만(+0.4%)과 함께 유일하게 상승 마감했다.

이날 상승을 이끈 주체는 외국인이었다. 외국인은 KOSPI에서 4,364억원, KOSDAQ에서 209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KOSPI에서 1,556억원, KOSDAQ에서 68억원을 순매도했고, 기관도 각각 3,756억원과 81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들은 주로 전기전자, 운송장비/부품, 제약업종에 관심을 보였다. IT업종에서는 삼성전자가 1.0%, SK하이닉스가 0.8% 상승했고, 산업재 분야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가 3.3%, 현대로템이 2.4% 올랐다. 금융업종에서도 KB금융이 1.3% 상승하는 등 상반기 주도주 업종들이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반면 최근 MASGA(미·호·영·일 해군 동맹) 기대감으로 급등세를 보였던 조선업종은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하며 큰 폭으로 하락했다. 특히 전날 노조 부분파업이 시작된 HD현대중공업은 1.8% 하락했고, 한화오션은 작업장 사고 발생 소식에 4.5%나 급락했다.

이날 시장에서 주목받은 업종으로는 MLCC, SMR(소형모듈원자로), 폴더블폰 관련주들이 꼽힌다. MLCC는 AI 서버 및 자율주행·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른 업황 개선 기대로 삼화콘덴서가 19.2%, 삼성전기가 2.5% 상승했다.

SMR 관련해서는 미국의 NuScale Power가 테네시 등 7개 주에 SMR을 구축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두산에너빌리티가 3.3%, 삼성물산이 2.0% 올랐다. 폴더블폰 테마에서는 삼성 폴더블폰 판매 호조와 애플의 'iPhone Fold' 출하 예상치 상향으로 KH바텍이 7.5%, LG디스플레이가 2.2% 상승했다.

신한투자증권 강진혁 선임연구원은 "9월 국회에서는 세제 개편안과 더불어 자사주 의무 소각을 담은 3차 상법 개정안 등이 논의될 예정"이라며 "8월 주주환원 목적으로 HMM이 2조1,432억원, KT&G가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취득한 만큼 소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다만 의무 소각 이전 EB(교환사채) 발행도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올해 자사주 기반 EB 발행은 13건 1조411억원으로 작년(11건 8,450억원)을 이미 넘어선 상황이다.
4일에는 주요 경제지표들이 발표될 예정이다. 유럽에서는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미국에서는 JOLTS 보고서와 7월 제조업 주문, 8월 자동차판매 데이터가 공개된다. 또한 세일즈포스, 휼렛팩커드, 달러트리, 메이시스 등의 실적 발표도 예정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7월 경상수지가 발표될 예정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4.42 ▲12.07
코스닥 796.81 ▲2.81
코스피200 430.37 ▲2.2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138,000 ▼448,000
비트코인캐시 820,500 ▲7,500
이더리움 6,195,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9,070 ▼110
리플 3,969 ▼6
퀀텀 3,68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181,000 ▼324,000
이더리움 6,190,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9,040 ▼140
메탈 989 ▼4
리스크 520 ▼3
리플 3,969 ▼7
에이다 1,159 ▼7
스팀 18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080,000 ▼510,000
비트코인캐시 820,000 ▲7,500
이더리움 6,195,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9,040 ▼140
리플 3,967 ▼9
퀀텀 3,715 ▲79
이오타 26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