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05(금)

[간밤의 美친주식] American Eagle, 시드니 스위니 광고 효과로 급등

T. Rowe Price, 골드만삭스와 전략적 파트너십 발표로 상승 ... Alphabet, 애플과 검색계약 유지 판결 나스닥 랠리 견인

CP CP

2025-09-05 07:48:17

[글로벌에픽 CP] 1. American Eagle Outfitters = 시드니스위니 광고 효과로 25% 급등

2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주가가 시간외 거래에서 25%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주가 상승의 핵심동력은 인기 배우 시드니 스위니(Sydney Sweeney)를 모델로 한 논란의 광고 캠페인이었다.

회사는 2분기 총 매출이 12억 8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주당순이익에서는 애널리스트 예상치를 상회하는 성과를 기록했다. 특히시드니 스위니 캠페인과 NFL 스타 트래비스 켈시와의 협업이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시드니 스위니 캠페인은 론칭과 동시에 소셜미디어에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광고에서금발 머리, 파란 눈의 시드니 스위니가 "유전자(genes)는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전해지며, 머리색, 성격, 심지어 눈 색깔까지 결정한다"고 말하며 "내 진(jeans)은 파란색이다"라고 말하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었다.
논란에도 불구하고 시드니 스위니가 홍보한 진 제품은 출시 일주일 만에 완판되었다. 일부 아이템은 24시간 내에 품절되는 등 즉각적인 판매 성과를 보였다. 구글 트렌드 데이터에 따르면, 아메리칸 이글에 대한 검색 관심도는 2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투자자들은 이번 성과를 시드니 스위니라는 문화적 아이콘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이 어떻게 어려움을 겪던 소매업체를월스트리트의 관심사로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하고 있다. 아메리칸 이글이 문화적 관심을지속적으로 끌어내고 비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한다면, 단기에서 중기적으로 주가 상승 모멘텀을 유지할 수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 T. Rowe Price = 골드만삭스와 전략적 파트너십 발표로 상승

볼티모어에 본사를 둔 자산운용회사로 골드만삭스와의 전략적 협력 발표 후 주가가 5% 이상 급등하며 S&P 500 지수 내에서 가장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였다.

이번 파트너십의 핵심은 골드만삭스가 T. Rowe Price 보통주에최대 10억 달러를 공개시장 매입을 통해 투자하여 최대 3.5%의지분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금융 투자를 넘어선 두 금융 거인 간의 전략적 제휴를 의미한다.

이번 협력의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개인 투자자들에게 프라이빗 마켓 접근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투자 상품의 개발이다. 두 회사는 2026년 중반부터 공동 브랜드의 타겟데이트 펀드를 출시할예정이며, 이는 전통적으로 기관투자자들에게만 제한되었던 사모투자 영역을 일반 투자자들에게 개방하는 획기적인시도다.
이번 파트너십은 미국의 30조 달러 규모 은퇴 시장을 겨냥한 전략적움직임이다. T. Rowe Price는 7월 31일 기준 1조.7000억달러의 고객 자산을 관리하고 있으며, 이 중 약 3분의 2가 은퇴 관련 자산이다.

투자자들은 이번 파트너십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T. Rowe Price의 주가는 발표 당일 5% 이상 상승하며 S&P 500 지수 내에서 가장 두드러진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시장이 이번 협력이가져올 시너지 효과와 성장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3. Amazon = Anthropic과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AI 시장 리더십 강화

OpenAI의 강력한 경쟁사로 부상한 Anthropic과의 전략적 협력을 대폭 확대하며 AI 시장에서의 입지를강화하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의 핵심은 Anthropic이 AWS의 자체 설계 AI 칩인 Trainium과 Inferentia를 사용하여 미래 AI 모델을 훈련하고 배포한다는 점이다. Anthropic은 AWS의 Annapurna Labs와 긴밀히 협력하여 차세대 Trainium 가속기의 개발과 최적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하드웨어에서최대의 연산 효율성을 끌어내기 위해 저수준 커널을 직접 작성하고 있다.

이는 아마존이 NVIDIA 의존도를 줄이고 자체 AI 인프라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전략의 핵심이다. Microsoft Azure가 OpenA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100억 달러 이상의 클라우드 지출을확보한 것처럼, 아마존도 Anthropic을 통해 AI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SemiAnalysis는 AWS가 2025년 말까지 20% 이상의 연간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예측하며 "AWS AI 부활"을 전망했다. 이는 Anthropic과의 파트너십이 아마존의 클라우드 사업에 실질적인성장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Anthropic은 2024년예상 매출 22억 달러에서 2027년 120억 달러로 확대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은 아마존의 AI 사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아마존과 Anthropic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단순한 투자를 넘어 AI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중요한 변곡점이 되고 있다. OpenAI-Microsoft 동맹에 맞서는 새로운 AI 생태계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이번 협력은 향후 AI 산업의 경쟁 구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으로 전망된다.

4. Salesforce = 실적예상치 상회에도 불구 실망스런 가이던스로 하락

글로벌 CRM(고객관계관리) 시장의 선두주자로 3일 발표한 2026회계년도 2분기 실적에서 매출과 수익 모두 예상치를 상회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분기 가이던스가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면서 주가가 크게 하락했다.

2분기 실적에서 전반적으로양호한 성과를 보였다. 주당순이익(EPS)은 예상치 2.78달러를 상회하는 2.91달러를 기록했으며, 매출은 예상치 101.4억 달러를 웃도는 102.4억 달러를 달성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수치로, 93.3억 달러에서 증가했다.

문제는 미래 전망에서 드러났다. 3분기 매출 가이던스로 102억4000~102억9000 달러를 제시했는데, 이는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한 102억9000 달러에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비록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시장은 이를 성장 모멘텀 둔화의 신호로해석했다.

실적 발표 이후 세일즈포스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5% 이상 하락했으며, 2025년 들어 누적 하락률이 27%에 달해 대형 기술주 중 최악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애널리스트들은 Agentforce와 Data Cloud가 전체 매출의 5~10%를 차지할 수 있는 임계점에 도달할 때까지 투자자들의 회의적 시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다수의 애널리스트들은 2분기결과를 기다리며 신중한 "보유" 의견을제시하고 있으며, Agentforce의 확장성, 거버넌스프레임워크, 그리고 전략적 인수합병 통합에 대한 명확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 Alphabet = 애플과 검색계약 유지 판결로 나스닥 랠리 견인

3일 거래에서 9.1% 급등하며기술주 랠리를 이끌었다. 이는 연방 법원이 구글과 애플 간의 검색 엔진 계약 유지를 허용한다는 판결을내린 데 따른 것으로, 투자자들의 강한 안도감이 반영된 결과다.

연방 판사는 구글이 크롬 브라우저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매각하지 않아도 된다고 판결했다. 더 중요한 것은 구글이 애플에게 아이폰, 맥, 아이패드에서 기본 검색 엔진으로 구글 검색을 사용하도록 하는 대가로 지불하는 연간 20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지속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이다.

이번 판결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즉각적이고 강력했다. 알파벳 주가는 장중 9.1% 급등했으며, 이는 회사에게 최악의 시나리오를 회피했다는투자자들의 판단을 반영한다. 애플 역시 이 판결의 수혜를 받아 주가가 3% 이상 상승했다.

알파벳은 2025년 2분기에 14% 증가한 964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강력한 성장세를 보여줬다. 특히 구글 클라우드 부문은 32% 성장한 136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으며, 이는 제미나이(Gemini) 같은 AI 도구에 대한 수요 증가에 힘입은 것이다.

하지만 알파벳은 여전히 미국과 유럽에서 다른 반독점 소송들을 마주하고 있다. 또한 메타 판사가 임명한 모니터링 기구가 구글이 의무사항을 이행하지 않았다고 판단할가능성도 남아있다.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들은 알파벳의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고 있으며, 캐나코드(Canaccord)는 목표주가를 230달러에서 270달러로 올렸다. 현재 알파벳의 주가수익률(P/E)은 20.3배로동종업계 대비 여전히 매력적인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글로벌에픽 CP /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1.29 ▲0.46
코스닥 809.21 ▲3.79
코스피200 432.55 ▲0.23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696,000 ▲444,000
비트코인캐시 825,000 ▲3,000
이더리움 6,042,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8,460 ▲50
리플 3,928 ▲10
퀀텀 3,815 ▲2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667,000 ▲427,000
이더리움 6,041,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8,420 ▼10
메탈 973 ▼2
리스크 509 0
리플 3,929 ▲12
에이다 1,139 ▲2
스팀 18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620,000 ▲380,000
비트코인캐시 825,000 ▲3,000
이더리움 6,035,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8,440 ▲60
리플 3,928 ▲12
퀀텀 3,804 ▲4
이오타 25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