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영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삼성전자는 다양한 업무영역에 AI 기술을 적용해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올해 삼성 AI 포럼은 산업계와 학계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을 모시고 AI가 사회와 산업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논의하고 함께 지혜를 나누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1일차: 반도체 산업의 버티컬 AI 전략 집중 논의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이 주관하는 1일차 포럼은 경기도 용인에 있는 삼성전자 더 유니버스에서 진행됐다. 사전 초청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반도체 산업의 버티컬 AI 전략과 비전'을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반도체 설계 자동화 회사인 지멘스 EDA의 아밋 굽타 부사장은 'AI 기반 전자 설계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반도체 전자 설계 자동화 도구에 AI를 통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특히 AI의 잠재력을 완전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체 워크플로우에서 작동하는 엔드투엔드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AI 센터장 "제조 복잡성 한계 극복에 AI 핵심 역할"
송용호 삼성전자 DS부문 AI센터장(부사장)과 강석형 포항공대 교수, 문일철 한국과학기술원 교수가 진행한 기술 세션에서는 반도체 설계·제조 분야의 최신 AI 응용 연구 성과와 미래 전망이 논의됐다. 송 부사장은 "AI는 칩 설계나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수적인 도구가 됐고 제조 분야에서도 제조 복잡성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 AI가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이날 진행된 '삼성 AI 연구자상' 시상식에서는 니콜라스 파프르노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 로즈 유 UC 샌디에이고 교수, 르렐 핀토 뉴욕대 교수 등 3명이 선정됐으며, 수상자들의 현장 강연도 진행됐다.
2일차: "생성형 AI를 넘어 에이전틱 AI로" 온라인 포럼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 겸 삼성리서치장 사장은 "생성형 AI는 이미 일상과 산업 전반에서 필수 도구로 자리잡았다"며 "삼성전자는 본격화되는 에이전틱 AI 시대에 맞춰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AI 기술을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적 석학들의 차세대 AI 기술 발표
2일차 기조 강연에는 조셉 곤잘레스 UC 버클리 교수, 수바라오 캄밤파티 애리조나 주립대 교수, 스테파노 에르몬 스탠퍼드대 교수 등이 나선다. 곤잘레스 교수는 거대언어모델 기반의 에이전트 능력 고도화 연구 사례를 발표하며, 특히 '슬립타임 컴퓨트' 패러다임을 소개할 예정이다.
캄밤파티 교수는 기존 거대언어모델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대규모 추론 모델'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에르몬 교수는 확산 모델을 언어에 적용한 '확산 언어 모델' 기술을 발표한다.
삼성리서치, 다양한 AI 기술 연구 성과 공개
기술 세션에서는 삼성리서치 연구원들이 카메라 색온도 자동 조절 AI 기술, 지식 증류를 활용한 효율적인 거대언어모델 학습 기법, 온디바이스 기술, 실제 목소리로 더빙 음성을 자동 생성하는 AI 기술 등 최신 연구개발 성과를 공유한다. 또한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으로 보고서를 분석하고 자동 생성하는 '딥 다이브' 기술, 문서 AI 기술, 온디바이스 AI 스튜디오 등 사내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과 적용 사례도 공개된다.
2일차 '삼성 AI 포럼 2025'는 삼성전자 개발자 유튜브 채널에서 시청할 수 있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