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17(수)

LG-무인탐사연구소 손잡고 '달 착륙 2032' 프로젝트 시동

누리호 4·5차에 자체 부품 탑재

안재후 CP

2025-09-17 11:00:00

LG 슈퍼스타트 데이 2024 행사장 전경

LG 슈퍼스타트 데이 2024 행사장 전경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슈퍼스타트 데이 2025, 한국판 유레카파크로 진화

LG가 국내외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통해 우주산업 진출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17일부터 이틀간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개최되는 '슈퍼스타트 데이 2025'를 통해 미래 기술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며, 특히 우주산업 분야에서의 구체적인 실증 계획을 최초로 공개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는 슈퍼스타트 데이는 단순한 스타트업 발굴 행사를 넘어 글로벌 기술 교류의 장으로 발전했다. 1,800여 곳이 참여 의사를 밝힌 가운데 약 80대 1의 치열한 경쟁을 뚫고 선발된 22개 신규 스타트업과 기존 협업 기업 10곳이 참여해 총 32개 기업의 혁신 기술이 한자리에 모였다. 지금까지 30개국 3만 명의 글로벌 참관객이 몰릴 정도로 한국판 '유레카 파크'로 성장하고 있다.

로봇 기술의 집합체, ABC 전략 가속화
올해 전시에서 눈에 띄는 것은 로봇 분야 스타트업들의 대거 참여다. 미국 등 5개국 특허를 보유한 '코라스로보틱스'는 세계 최초 일체형 로봇 손 체인저 시스템을 선보이며, 15종 이상의 그리퍼로 다양한 물체를 손상 없이 파지하는 핵심 기술을 공개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모션캡처 기술을 보유한 '에이플라'는 로봇이 영상 속 동작을 실시간으로 학습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시연한다.

구광모 LG 대표가 미래 사업으로 선정한 ABC(AI, 바이오, 클린테크) 영역에서도 주목할 만한 기술들이 대거 공개됐다. '넥스트 엔비디아'로 평가받는 '망고부스트'는 AI 데이터센터 확산에 필수적인 DPU 기반 네트워킹 솔루션을 선보이며, 수혈용 인공 혈액 생산 분야의 선두주자 '아트블러드'는 세포 기반 적혈구 체외 생산 기술을 공개한다. 재활용 플라스틱의 디지털 거래 플랫폼을 운영하는 '파운드오브제'도 다양한 재생 소재를 전시해 친환경 기술의 발전상을 보여준다.

우주산업 실증, 뉴 스페이스 시대 개막

이번 행사의 최대 하이라이트는 LG와 무인탐사연구소가 함께 추진하는 우주산업 실증 프로젝트의 최초 공개다. LG는 오는 11월 누리호 4차 발사에 자체 개발한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고, 2026년 6월 누리호 5차 발사에는 배터리 셀과 통신 모듈용 안테나를 실을 예정이다.

이번 실증은 민간 주도의 '뉴 스페이스' 시대를 알리는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처음부터 우주용 제품을 개발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기존 양산품을 우주환경에 맞춰 기술 보완하는 사업 모델을 채택해 비용과 시간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LG와 무인탐사연구소는 이를 바탕으로 2032년 달 착륙이라는 야심찬 목표를 설정했다.

우주산업 분야에서는 다양한 기술 협력도 모색된다. 우주 공간에서의 생산·조립·제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워커린스페이스', 레이저 기반 우주광통신 기술의 '스페이스빔', 올해 2월 스페이스X 팔콘9 로켓을 통해 위성에서 AI 기반 영상 분석에 성공한 '텔레픽스' 등이 참여해 우주산업 생태계의 확장을 예고했다.
글로벌 우주산업 성장세 속 LG의 포지셔닝

LG의 우주산업 진출은 이미 견고한 기반을 갖추고 있다. 2016년 LG에너지솔루션은 NASA 우주 탐사용 우주복에 리튬이온배터리를 공급하는 업체로 선정되면서 우주산업에 첫 발을 내디뎠다. 우주복 배터리는 우주비행사의 생명 보존을 위한 산소 공급 장비, 통신장비, 방사능 측정기 등의 심장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으로, LG에너지솔루션의 제품은 NASA의 엄격한 기준을 가장 우수한 성적으로 통과했다.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세계 우주산업 규모는 2030년 5,900억 달러(약 820조 원), 2040년 1조 1,000억 달러(약 1,528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성장세 속에서 LG의 선제적 투자와 기술 개발은 미래 먹거리 확보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융합 혁신의 플랫폼, LG 스파크 2025

슈퍼스타트 데이는 LG가 이달 8일부터 26일까지 진행하는 'LG 스파크 2025'의 일환이다. 3주간 5개 세부 행사로 구성된 이번 프로그램은 LG 테크페어, LG AX페어에 이어 슈퍼스타트 데이를 진행했으며, 다음주에는 LG 소프트웨어 개발자 컨퍼런스와 컬처위크가 연이어 열린다.

정수헌 LG사이언스파크 대표는 "스타트업의 창의적 혁신과 자유로운 도전, 변화를 만들어가는 슈퍼스타트 데이는 융합 R&D 기지인 LG사이언스파크의 핵심 오픈이노베이션 행사"라며 "앞으로 슈퍼스타트 데이가 한국판 유레카 파크처럼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LG의 이번 우주산업 진출 선언은 단순한 사업 확장을 넘어 한국 우주산업 생태계 전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민간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와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통해 '뉴 스페이스' 시대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하려는 LG의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23.48 ▼26.14
코스닥 848.37 ▼3.47
코스피200 468.61 ▼4.2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839,000 ▼240,000
비트코인캐시 832,500 ▲1,500
이더리움 6,255,000 ▼37,000
이더리움클래식 28,400 ▼110
리플 4,196 ▼23
퀀텀 3,370 ▼2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790,000 ▼304,000
이더리움 6,256,000 ▼38,000
이더리움클래식 28,400 ▼150
메탈 1,010 ▼7
리스크 500 ▼7
리플 4,193 ▼26
에이다 1,215 ▼7
스팀 18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800,000 ▼270,000
비트코인캐시 832,500 ▲1,000
이더리움 6,250,000 ▼40,000
이더리움클래식 28,410 ▼90
리플 4,195 ▼23
퀀텀 3,372 ▼18
이오타 26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