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24(수)

그루핀(Gurufin), “하이브리드형 메인넷” 첫선

-‘KBW2025’…“GX체인” 공개… SWIFT 3.0 자리매김 확신
-원화기반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시 필요한 10가지 핵심 기준도 제시

신승윤 CP

2025-09-24 10:47:43

그루핀(Gurufin), “하이브리드형 메인넷” 첫선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그루핀(GURUFIN)이 세계에서는 처음으로 하이브리드형 메인넷을 선보였다. 그루핀(Gurufin)은 지난23일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KBW 2025’에서 각각의 Layer-1 체인인 거버넌스체인(Gurufin Chain)과 스테이블코인체인(Gx Stablecoin Chain)을 동시에 공개하고, 두 체인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스테이블 전용 Layer-1 메인넷으로 설계한 “GX 체인”을 내놨다.

그루핀이 공개한 “GX체인”은 처음부터 실생활 결제와 실시간 글로벌 송금 및 정산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어 신뢰성, 규제 정합성, 투명성을 확보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루핀은 이날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소각 및 송금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전과정을 시연(기술 검증PoC)하기도 했다.

KBW에서 그루핀의 글로벌 전략 이사인 하이너 카마초(Heiner Camacho)는 “규제는 각국의 법률에 맞게, 교환은 글로벌하게”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현재 180~190개에 이르는 스테이블코인 중 90%이상이 미 달러 기반인 점과 실시간 준비금 공개가 이뤄지지 않는 등 투명성(Transparency) 문제와 불완전한 담보율로 인한 디페깅(Risk)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지적하며, 이를 해결할 새로운 표준으로 “GX 체인” 모델을 소개했다.

그루핀은 이어 원화기반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시 필요한 핵심 기준으로 ▲100% 원화 현금 준비금 기반 구조 ▲인위적 개입이 없는 실시간 발행,소각 시스템 ▲온체인 기반 실시간 감사 시스템 ▲스테이블코인 전용 Layer-1 메인넷 기반 구조 ▲일상 경제 활동에 쓰일 수 있는 빠른 처리 속도 ▲규제 정합성(AML/KYC 등) 중심 설계 ▲안정적 합의 방식 (POA, Proof of Authority) ▲초저비용 수수료 ▲다국적 확장성 ▲스테이블코인 간 자유로운 교환을 제시하며, 특히 현지 금융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글로벌 교환성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그루핀(Gurufin)이 이날 공개한 새로운 블록체인 시스템인 “GX체인”이 Web3를 위한 “SWIFT 3.0이 될 것임을 확신”한다며, 앞으로 “그루핀 체인”과 “GX체인”이 “전통적인 금융과 온체인 금융을 연결하는 중립적인 FX 및 DeFi 허브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그루핀(Gurufin)은 전통 금융과 디지털 자산을 연결하는 Web3 기반 금융 인프라 플랫폼이다. 규제 준수와 확장성을 기반으로 한 자체 Layer 1 블록체인을 중심으로, 빠르고 안전하며 투명한 금융 서비스를 가능케 한다. GX 스테이블코인과 그루핀 탈중앙화 거버넌스 체인을 중심으로, 국가별 규제를 충족하면서도 국경을 초월해 자유롭게 디지털 자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글로벌 금융 허브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 kiss.sfws@gmail.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47.99 ▼38.20
코스닥 853.42 ▼18.79
코스피200 476.57 ▼4.97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00,000 ▼438,000
비트코인캐시 791,000 ▼5,000
이더리움 5,906,000 ▼36,000
이더리움클래식 26,650 ▼270
리플 4,020 ▼8
퀀텀 3,066 ▼2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80,000 ▼395,000
이더리움 5,905,000 ▼43,000
이더리움클래식 26,700 ▼230
메탈 932 ▼9
리스크 455 ▼5
리플 4,019 ▼12
에이다 1,145 ▼10
스팀 17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40,000 ▼470,000
비트코인캐시 791,500 ▼4,500
이더리움 5,910,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6,660 ▼280
리플 4,021 ▼8
퀀텀 3,057 ▼8
이오타 24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