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0.16(목)

"미·중 갈등 APEC 전까지 계속될 듯...AI 섹터 조정 시 매수 기회"

희토류 통제로 촉발된 무역 분쟁, 양측 샅바싸움 10월 말까지 이어질 전망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0-16 09:14:49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재점화되면서 중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중기적 투자 매력은 여전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신한투자증권은 16일 발간한 중국 주식전략 보고서에서 "미·중 갈등이 10월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AI 사이클과 위험자산으로의 머니무브에 기반한 중기적 낙관 경로는 훼손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희토류 통제로 시작된 갈등...한화오션 제재까지

미·중 갈등의 발단은 지난 10월 9일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 조치였다. 중국은 희토류 수출 시 정부 허가를 의무화하며 첨단산업의 핵심 소재를 전략자산으로 관리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이튿날 11월 1일부터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핵심 소프트웨어의 대중 수출 통제를 예고하며 정면 대응에 나섰다. 이후 유화적 발언이 이어지며 일시적 완화 기대가 형성됐지만, 14일 중국이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하면서 갈등이 다시 확산되는 모습이다.

신승웅 신한투자증권 중국 주식전략 애널리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의 6년 만의 대면 회담을 앞두고 협상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특유의 강온 병행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며 "양측의 샅바싸움은 10월 말 APEC 정상회의 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중국도 물러설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올해 중국의 대미 정책은 철저히 비례적 대응 원칙에 기반하고 있다. 유권자 표심을 고려해야 하는 미국과 달리, 중국은 체제 특성상 전략적 인내가 가능하다.

무엇보다 미국의 '중국 때리기' 효용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현재 미국의 중국산 수입품 평균 관세율은 약 58%로 추산된다. 올해 1~3분기 중국의 대미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9% 감소했지만 전체 수출은 6.1% 증가하며 선방했다. 아세안(+14.7%), 유럽연합(EU, +8.2%) 등 비미국 수출이 견조했기 때문이다.

신 애널리스트는 "베이징은 미국이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충분히 감내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중 충돌이 주식시장에 불편한 노이즈임은 분명하다. AI 밸류체인 중심으로 기술주 랠리가 이어지며 가격 부담이 확대된 영향이다. 지난 3분기 본토 ChiNext와 과창판은 각각 50.4%, 49.0%, 홍콩 항셍테크는 21.9% 급등했다. 차익매물 출회와 기술적 조정이 나타나도 전혀 이상할 게 없는 구간이다.
그러나 신 애널리스트는 "4월 상호관세 충격 이후 V자 반등의 학습 효과와 차주 예정된 4중전회 정책 기대는 주식시장 하단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며 "무엇보다 AI 사이클과 위험자산으로의 머니무브에 기반한 중기적 낙관 경로는 훼손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기존 투자자 "매도 실익 작지 않아"...신규 투자자는 진정 후 진입

투자 전략과 관련해 신 애널리스트는 "기존 투자자에게는 매도 대응의 실익이 크지 않다"며 "하반기 누적된 초과성과는 단기 변동성을 감내하기에 충분하다"고 말했다.

반면 신규 투자자는 미·중 갈등이 일정 부분 진정된 뒤 진입해도 늦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업종 전략 측면에서는 AI 사이클의 핵심인 하이퍼스케일러에 대해 조정 시 매수 전략을 유지했다. 또한 가격과 수급 부담이 적은 2차전지·ESS·태양광 섹터에 대해서도 낙관적 시각을 유지했다. 아울러 전략자산인 금과 희토류, 공급과잉 해소 정책 수혜가 예상되는 민감주 비중 확대를 통해 포트폴리오 밸런스 강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신 애널리스트는 "미·중 갈등 확산에도 A주 거래대금은 2조위안을 상회하고 신용거래 비중도 높은 레벨에서 유지되고 있다"며 "중국 하이퍼스케일러의 설비투자(CapEx) 추정치도 지속 상향되는 등 AI 투자 사이클은 견조하게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724.77 ▲67.49
코스닥 865.29 ▲0.57
코스피200 521.45 ▲10.90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632,000 ▲264,000
비트코인캐시 800,000 ▼1,500
이더리움 6,128,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4,830 ▼100
리플 3,690 ▼2
퀀텀 3,06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840,000 ▲328,000
이더리움 6,129,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4,850 ▼80
메탈 791 ▼1
리스크 358 ▼2
리플 3,693 0
에이다 1,024 ▼1
스팀 14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810,000 ▲340,000
비트코인캐시 801,000 ▼500
이더리움 6,13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810 ▼150
리플 3,694 ▲1
퀀텀 3,033 0
이오타 21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