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투지바이오는 27~28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PODD(Partnership Opportunities in Drug Delivery)'에 참석해 고함량 기술 기반의 주요 연구성과를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발표 주제는 'Innovative Ultra-High Drug Loaded Microsphere Injectables for CNS and Metabolic Diseases'로, 혁신적인 초고함량 마이크로스피어 주사제 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98일 지속 데이터 확보..."3개월 제형 가능성 입증"
지투지바이오가 PODD에서 주목받은 핵심은 '3개월 제형' 개발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이다. 국내 제약사 중 최초로 지난해부터 PODD에 참석해온 지투지바이오는 올해 한층 진화된 기술력을 선보였다.
이는 지투지바이오의 독자 플랫폼 '이노램프(InnoLAMP)' 기술력이 뒷받침된 결과다. 이노램프는 미립구 내 저분자화합물을 60% 이상의 고함량으로 탑재하고, 생체이용률을 2배 이상 높여 3개월 이상의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을 가능케 한다.
더욱 주목받은 건 당뇨·비만치료제 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를 기반으로 한 3개월 제형의 약동학 결과를 최초로 공개한 점이다.
지투지바이오는 세마글루타이드 1개월 제형 개발을 이미 완료하고 내년 상반기 임상 진입을 목표하고 있다. 3개월 제형은 현재 최적화 단계로, 연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글로벌 시장에서 주 1회 투여 제형이 대세인 상황에서, 3개월에 한 번만 투여하는 초장기지속형 제형은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력 입증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지투지바이오는 앞서 8~10일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바이오재팬(BioJapan)'에서 글로벌 빅파마로부터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 공장 실사를 이끌어냈다. 공장 실사는 본격적인 공동개발이나 위탁생산(CMO) 계약을 위한 필수 전 단계다.
지투지바이오 관계자는 "올해 PODD에서는 사전에 공동개발 등을 체결한 3개 글로벌 빅파마와 향후 진행방향을 논의했고, 새로운 글로벌 빅파마와도 파트너십을 논의하는 자리들이 마련됐다"며 "첫날에 이어 둘째날에도 다수의 미팅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CNS 질환은 복약순응도가 낮아 장기지속형 제형의 필요성이 특히 큰 분야다. 조현병이나 치매 환자들은 약 복용을 잊거나 거부하는 경우가 많아, 한 달에 한 번 또는 3개월에 한 번 투여하는 제형은 치료 효과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지투지바이오 관계자는 "복약순응도가 낮은 CNS 분야에서 긍정적인 비임상, 임상 등에 기반한 실질적인 데이터를 공개하면서 글로벌 파트너십이 확대되고 있다"며 "지투지바이오의 기술력이 높이 평가받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