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20(목)

넷아스, 국세청 이어 국내 주요 대기업과 연이은 납품계약 추진

이성수 CP

2022-05-26 13:00:00

넷아스, 국세청 이어 국내 주요 대기업과 연이은 납품계약 추진
[글로벌에픽 이성수 기자]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 개발 전문기업 ㈜넷아스(대표 김화수)가 국세청 등 각종 공공기관을 비롯해 국내 주요 대기업과의 솔루션 납품계약을 중점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세계 최초로 자체 개발에 성공한 ARM 서버 ‘멀티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제어 시스템(method of operation and control system of multi-processor)’에 대한 특허출원에 성공한 넷아스는 이를 기반으로 국내외 대형 IT 대기업들과의 대량 납품에 속도를 내며 지속가능한 성장발판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지난 2019년 개발된 넷아스의 ARM 서버는 관리의 단순화, 효율성 개선을 위한 클라우드 및 에지(클라우드 에코시스템 기본플랫폼)용으로 설계되어 있어 다량의 컴퓨팅 코어가 가능하고, 최신 PCIe 4.0 및 128 PCIe 레인을 활용, GPU와 스토리지 및 네트워킹에서 보다 빠른 처리량을 허용하고 있다. 기존 대비 전력소비량을 절반으로 낮추고 2배 이상 성능을 업그레이드 시키는 등 소유비용(TCO)의 효율적인 개선 및 관리를 실현시켰다는 평을 이끌어내고 있다.

앞서 2017년 국세청의 FIU정보통합분석시스템(FOCAS) 고도화 사업 및 전산자료복구시스템 유지보수 사업, 디지털 포렌식 노후장비 교체 및 장비확충 사업 등 각종 공공기관 중심의 정부지원사업을 수주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넷아스는 최근 글로벌 ARM서버 기업 기가바이트(GIGABYTE)와 ARM 프로세서 기반 서버 총판 계약을 체결하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또한 지난해 6월 국내 굴지 대기업에 ARM 서버 파일럿 시스템 납품을 완료한데 이어 글로벌 IT업계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미국 스토리지 전문기업 스톤플라이를 비롯해 국내외 다양한 대기업과의 기술이전 및 서비스 총판 계약도 체결하는 등 관련 산업 내에서의 영향력을 넓혀나가고 있다.

넷아스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ESG경영 기조에 따라 국내 대기업들 역시 저탄소 고효율의 정보시스템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라며 “이러한 정보시스템 산업 관련 트렌드에 따라 넓은 범용성은 물론 효율적인 전력소비량을 자랑하는 넷아스의 ARM서버에 대한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관계자는 이어 “IT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서버 제조 기술 및 스토리지 제조 역량 등을 보유하고 있는 넷아스는 올해 성공적인 대기업 대량 납품을 바탕으로 글로벌 정보시스템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넷아스는 미국의 IBM, DellEMC, HP 등 글로벌 IT기업들과 같이 ARM 서버, 스토리지 등 하드웨어 기술 및 e-Discovery(전자증거개시제도) 솔루션 등 소프트웨어 기술을 동시에 보유한 국내 유일 정보시스템 및 e-Discovery 솔루션 벤더 기업으로, 내년 중 국내 코스닥 시장 기술특례상장을 비롯해 오는 2025년 미국 나스닥 상장도 계획하고 있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929.51 ▼24.11
코스닥 871.32 ▼7.38
코스피200 552.66 ▼3.79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998,000 ▲1,172,000
비트코인캐시 732,000 ▲4,500
이더리움 4,602,000 ▲64,000
이더리움클래식 21,520 ▲270
리플 3,186 ▲39
퀀텀 2,552 ▲3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873,000 ▲1,110,000
이더리움 4,594,000 ▲55,000
이더리움클래식 21,560 ▲220
메탈 635 ▲9
리스크 330 ▲3
리플 3,186 ▲40
에이다 701 ▲11
스팀 11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060,000 ▲1,290,000
비트코인캐시 731,500 ▲5,000
이더리움 4,601,000 ▲60,000
이더리움클래식 21,580 ▲330
리플 3,184 ▲36
퀀텀 2,533 0
이오타 19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