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25(월)

㈜쉐카이나,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에서 발전소 오일의 냉각·정화 동시 실현 장비 선보여

황성수 CP

2025-07-17 15:36:00

[글로벌에픽 황성수 CP] ㈜쉐카이나(대표 이경호)가 ‘2025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에서 발전소의 오일의 냉각과 정화를 동시 복합적으로 실현하는 장비 ADDIA를 선보였다고 밝혔다.

쉐카이나는 발전소의 각종 유압설비 및 윤활설비 전문기업으로 국내 발전소에 윤활설비를 납품하고 유지·보수 서비스를 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해수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남부발전과 함께 세계 최초로 오일 정화와 냉각 기능을 복합적으로 실현하는 장비 ‘ADDIA’를 순수 국내기술로 공동 개발했다.

ADDIA는 오일의 냉각과 정화를 동시 복합적으로 실현해 낼 수 있는 장비다. 효율적인 냉각을 위해 ▲3중 하이브리드 냉각시스템과 ▲난류형성 기술 등이 탑재되었다. 하나의 장비에 위 3단계의 냉각 프로세스(3중 하이브리드 냉각시스템)가 모두 탑재되었기 때문에 공간이 제한된 발전소의 좁은 면적 안에서 높은 냉각효율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기존의 설비에 옆에 추가로 붙여 사용할 수 있기에 이미 운행 중인 발전설비에 대한 접근성도 매우 뛰어나다.

여기에 난류형성 기술을 탑재해 냉각 효율을 극대화시켰는데, 이는 끊임없이 난류를 형성시켜 냉각을 위한 열교환율을 높이는 기술이다. 실험결과를 보면 시간당 13만~20만 kcal의 냉각 효율이 있는데, 기존 장비가 3~4만 kcal의 냉각효율을 가지고 있음을 감안했을 때, 냉각효율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화 기능을 보면 기존대비 2배의 대유량의 오일 정화 기능을 갖췄는데, 이중 정화 방식이 적용되었다. 1차로 Particle을 제거하고 2차로 수분 및 바니쉬 미립자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280 LPM 이상의 정제 능력이 있다.

또한 수분 제거 및 윤활유의 열응력으로 발생하는 미세 바니시를 제거하는 기술이 적용되었는데, Coalescer Filter와 Separator Filter를 통해 바니시와 끈적끈적한 침전물이 설비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했다. 남부발전과 공동으로 개발하는 과정에서 여러 번의 공인인증을 통해 성능을 인정받았는데, 당시 시험결과를 보면 오일 내 수분을 20ppm 이하로 계속 유지했다.

ADDIA의 또 다른 장점은 업계 최초로 AI 기능이 탑재되었다는 것이다. 설비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은 인공지능이 알고리즘에 기반한 분석과 판단으로 오일을 냉각하고 정화까지 자율적으로 실현한다. 외부 온도와 습도, 오일의 온도와 컨디션(오염도 및 수분 상태)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최적의 운전조건을 스스로 조절해 자동으로 냉각 및 정화하면서, 관리자가 없이 24시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발전 설비를 자율 운행한다.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데이터는 남부발전에서 오랫동안 모아 온 데이터를 취합해 제공하였고, 쉐카이너가 최적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는데, 95% 이상의 매우 높은 정확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직관적이고 디지털적인 인터페이스를 적용해 편의성과 효율성을 더욱 높였는데, 관리자가 설비에 탑재된 모니터를 통해 오일의 등급과 수분 상태, TCV밸브의 열림 상태 등의 데이터를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계통을 단순화하고 기존 제품들의 고장 요인을 분석하여 보완 설계 하였다는 장점도 있는데, 고장이 많은 흡입, 토출 기어펌프, 진공펌프, 공압식 밸브 등을 배제하고 저소음, 고효율의 Screw Pump 1대 기동만으로 정화와 쿨링이 One Cycle로 실현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ADDIA는 올해 초 개발선정품에 지정되었으며, 4월경에는 중소기업 기술마켓에도 등록되었다. 그리고 올해 내에 태안 화력발전소에 2기가 납품될 예정이며, 얼마 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국제발명·혁신·기술전시회(ITEX 2025)’에서 금상을 수상하였다.

[글로벌에픽 황성수 CP / hss@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68.73 ▲26.99
코스닥 782.51 ▲5.27
코스피200 428.50 ▲4.09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000,000 ▼100,000
비트코인캐시 824,500 ▼1,000
이더리움 6,680,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32,460 ▲80
리플 4,190 ▼8
퀀텀 4,112 ▲17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045,000 ▼108,000
이더리움 6,676,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32,470 ▲100
메탈 1,032 ▲3
리스크 541 ▲1
리플 4,192 ▼6
에이다 1,252 ▲1
스팀 18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020,000 ▼60,000
비트코인캐시 824,000 ▼1,000
이더리움 6,68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32,390 ▲20
리플 4,190 ▼7
퀀텀 4,100 ▲158
이오타 27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