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0.21(화)

KB국민은행, 중소기업 탄소관리 지원 나서…'첫걸음' 이벤트 실시

'KB 탄소관리시스템' 신규 이용 기업에 인센티브 제공…ESG 경영 확산 지원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0-20 10:42:01

KB국민은행, 중소기업 탄소관리 지원 나서…'첫걸음' 이벤트 실시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KB국민은행이 중소·중견기업의 ESG 경영 확산을 위해 온라인 탄소관리 플랫폼 이용을 독려하는 이벤트에 나섰다.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은 20일 온라인 플랫폼 'KB 탄소관리시스템' 신규 이용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우리 기업 탄소관리 첫걸음'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KB국민은행은 이번 이벤트를 통해 탄소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KB 탄소관리시스템'은 기업의 에너지 사용량을 기반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관리할 수 있는 KB국민은행의 온라인 플랫폼이다. KB국민은행 기업인터넷뱅킹을 이용 중인 법인기업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업종별 배출시설 목록 자동생성부터 배출량 산정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이번 이벤트는 10월 20일부터 11월 28일까지 약 40일간 진행된다. 이벤트 기간 내 'KB 탄소관리시스템'에 에너지 사용량을 등록하고 탄소배출량을 산정한 선착순 50개 기업에게는 5만원권 스타벅스 상품권이 증정된다.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KB국민은행 기업인터넷뱅킹 홈페이지 경영지원/ESG 메뉴 내 'KB 탄소관리시스템'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2024년 2월 'KB 탄소관리시스템'을 선보였다. 금융권 최초로 한국전력 오픈 API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광학문자인식 기술 'KB AI-OCR'을 적용해 에너지 데이터 수집 과정을 자동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과 배출량 관리의 정확성을 동시에 높였다는 평가다.

'KB 탄소관리시스템' 이용 기업은 내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감축목표 대비 실적, 배출량 추이 등 다양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계열사 및 협력사 등의 배출량도 통합 관리할 수 있어 공급망 전체의 탄소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 등 글로벌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탄소배출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번 이벤트를 통해 탄소배출 관리의 필요성을 알리고, 중소·중견기업의 ESG 경영 실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EU는 2026년부터 수입품에 대해 탄소배출량 정보 제출을 의무화하고, 2027년부터는 탄소국경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수출 기업뿐 아니라 공급망에 속한 중소기업들도 탄소관리 역량 확보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KB국민은행의 이번 이벤트는 중소·중견기업들이 ESG 경영의 첫걸음을 떼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오픈 API와 데이터 기반 탄소관리 플랫폼을 통해 중소기업의 ESG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지원한다는 전략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814.69 ▲65.80
코스닥 875.77 ▲16.23
코스피200 535.28 ▲9.80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472,000 ▲557,000
비트코인캐시 725,500 ▲1,500
이더리움 5,964,000 ▲21,000
이더리움클래식 23,980 ▼70
리플 3,711 ▲19
퀀텀 3,00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547,000 ▲524,000
이더리움 5,969,000 ▲21,000
이더리움클래식 24,040 ▼30
메탈 768 ▼3
리스크 335 ▼1
리플 3,712 ▲17
에이다 995 ▲3
스팀 141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510,000 ▲510,000
비트코인캐시 726,000 ▲2,500
이더리움 5,97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3,980 ▼50
리플 3,713 ▲22
퀀텀 2,996 0
이오타 21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