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28(월)

러쉬코리아, 제2회 러쉬 아트페어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진행

‘사라져 가는 우리나라의 자생식물’ 조명.. 매장 전시 후 국립 수목원서 통합 전시

이수환 CP

2023-08-15 09:00:00

러쉬코리아, 제2회 러쉬 아트페어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진행
프레시 핸드메이드 코스메틱 브랜드 ‘러쉬코리아’가 제2회 러쉬 아트페어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를 개최한다.

러쉬(LUSH) 아트페어는 최초의 팝업 갤러리 아트페어로, 리테일 매장 프로모션 윈도우 섹션에 제품이 아닌 미술 작품을 전시한다. 시민들에게 거리의 매장에서 예술 감상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퍼블릭 아트의 성격도 지닌다.

앞서 지난해 개최된 제1회 러쉬 아트페어는 ‘인권, 환경, 동물’을 주제로 성료된 바 있다. 다름을 인정하고 포용하여 보다 조화로운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브랜드의 신념인 ‘All are welcome, Always!’에 기반한 것이다. 제2회 러쉬 아트페어는 ‘환경’ 주제의 구체적인 상황에 초점을 맞췄다. ‘사라져 가는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을 주제로 삼아 기후위기 속 사라져 가고 있는 것들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준다.

특히 2회 전시에는 제1회 아트페어 대비 20여 명이 증가한 50명의 작가가 참여하고 8월 17일부터 31일까지 전국 18개 러쉬 매장에서 전시를 진행한 뒤, 9월 8일에는 국립 수목원 내 산림 박물관에서 특별 전시를 개최해 각 매장에 흩어져 있던 작품을 한 곳에 모은다.

각 매장에서는 관람 후 포토 댓글 인증이나 아트페어 레인지 구매 참여 시 샘플과 와펜을 각각 한정 수량 증정하며, 러쉬 모바일 스토어와 App에서 아트페어 레인지를 구매하면 작품 프린팅 엽서를 랜덤 증정한다.

2회 연속 발달장애 예술가들과 함께 전시를 만든 점이 눈길을 끈다. 금번 아트페어를 위해 전국 발달장애 예술가들이 산림청 산하의 지역 수목원을 찾아 직접 보고 느낀 감정들을 그림으로 담아냈다. 이에 우리 땅에 자라는 식물 보전의 중요성을 메시지로 담은 작품들이 탄생했다.

이는 제품을 통해 인권과 환경을 바꾸는데 앞장서며 조화로운 세상과 미래를 고민하고 실천해 온 러쉬의 가치와도 맞닿아 있다. 남다른 창조력과 독창성을 지닌 발달장애 예술가들에게 더 많은 기회와 활동 영역이 펼쳐지기를 바라는 소망을 담아 2회에 걸친 협업을 실시한 것이다. 지역 작가와 매장을 연결함으로써 지역 커뮤니케이션과 지역 예술 발전에도 기여한다.

아울러 유니크한 러쉬 제품과 작품의 조화로 편안하고 향기롭게 작품을 감상하며 새로운 경험과 예술적 영감을 얻을 수 있다. 작품에 어울리는 제품을 큐레이션 해 새로운 이야기를 제시, 또 다른 즐거움도 선물한다. 러쉬 웹사이트에서는 디지털 갤러리를 전개하며, 전국 작가의 작품 전시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후위기 속 환경 변화 대응책을 연구하고 생태계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자원 관리에 힘쓰는 지역 수목원과 협업해 사라져 가는 식물들의 안타까운 현실을 조명한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갖는다. 러쉬의 진심 어린 행보에 수목원들이 선뜻 동참하며 아트페어에 진정성을 더했다.

추후 5회 이상 러쉬 아트페어를 꾸준히 진행해 진정성을 널리 알리고 그림을 넘어 조형, 음악, 행위예술 등의 분야로 확장하여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발달장애 예술가와 더불어 언더 및 신진 작가를 발굴해 그들이 자유로운 재능을 펼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러쉬코리아 우미령 대표는 “인권과 환경을 강조하는 러쉬는 지난해 발달장애 작가들과 함께 국내 유일의 특별한 아트페어를 기획하며 전국 매장을 갤러리화한 팝업 아트페어로 꾸몄다”며, 올해는 지역 수목원과 협업해 환경과 자연의 소중한 메시지를 밝힐 수 있어 뜻깊고, 모쪼록 세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아트페어로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소망을 전했다.

이수환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2.82 ▼13.23
코스닥 801.37 ▼5.58
코스피200 428.73 ▼2.05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813,000 ▲89,000
비트코인캐시 805,500 0
이더리움 5,275,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31,680 ▲110
리플 4,441 ▼1
퀀텀 3,224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652,000 ▲137,000
이더리움 5,274,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31,670 ▲100
메탈 1,125 ▲5
리스크 668 ▲5
리플 4,440 ▼5
에이다 1,137 ▲2
스팀 20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850,000 ▲150,000
비트코인캐시 805,500 ▼500
이더리움 5,27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1,650 ▲70
리플 4,443 ▲2
퀀텀 3,182 0
이오타 29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