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국내 기업의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지만, 확전 여부에 따라 수출입 및 에너지 도입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어 정부가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응책 모색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수출 비상 대책반'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aside class="aside-bnr05" style="margin: 0px auto 30px; padding: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variant-alternates: inherit; font-variant-positio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16px; line-height: inherit; font-family: "Spoqa Han Sans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Gulim, 굴림, AppleSDGothicNeo-Regular, sans-serif; font-optical-sizing: inherit; font-kerning: inherit; font-feature-settings: inherit; font-variation-settings: inherit; width: 718px; text-align: center;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이날 회의에는 산업부 무역정책관과 석유산업과·가스산업과 간부들이 참석했으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한국무역협회, 무역보험공사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자리했다.
ADVERTISEMENT
회의에서 온라인 회의 플랫폼 줌(Zoom)을 이용해 코트라 사우디아라비아 무역관을 연결, 현지 상황을 파악했다.
회의 점검 결과 현재까지 국내 기업의 수출 물품 선적과 석유·천연가스 등 에너지 도입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미군과 영국군의 후티 근거지 공습으로 이란이 참전 가능성이 거론되는 등 중동 정세가 더 불안해질 수 있는 만큼 현지 상황 모니터링을 강화해 대응하기로 했다.
정부는 우리 선박과 수출 물품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하기로 하고 화주, 국적선사 등에 안전한 항로로 우회할 것을 적극 권고했다.
해상운임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이를 감안해 수출 기업에 수출 바우처 등 단계별 지원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김완기 산업부 무역투자실장은 "중동 사태의 추이를 예단하기 어려운 만큼 면밀한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유관 부처·기관과 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수출 및 에너지 수급에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수환 글로벌에픽 기자 lsh@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