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더들이 일하는 모숩. 사진=연합뉴스/로이터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개선되고 경기 연착륙 기대감이 커진 것이 주가를 끌어올렸다.
다우 42,000 첫 돌파, S&P 500도 사상 최고
1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22.09포인트(1.26%) 급등한 4만 2,025.19에 거래를 마쳤다. 42,000선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P 500 지수는 95.38포인트(1.70% ) 오른 5,713.6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40.68포인트( 2.51% ) 뛴 1만 8,013.98에 장을 마감했다. S&P 500 지수 역시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증시 급등은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에 따른 투자 심리 개선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연준은 전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는 4년 만에 처음 단행된 금리 인하다.
금리 인하로 투자자들은 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를 늘리면서 기술주를 중심으로 주가가 상승했다.
엔비디아와 AMD의 주가는 각각 약 4%, 6% 상승했고,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도 2.18% 올랐다. 메타 플랫폼과 알파벳 등 다른 대형 기술주도 각각 3.9%, 1.46% 상승했다.
경기 연착륙 기대감도 주가 상승 견인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도 투자 심리를 개선시켰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전주보다 1만2000건 감소한 21만900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시장 예상치(23만건)를 크게 밑도는 수치다.
경기 연착륙 기대감은 금융, 산업 등 경기 민감주에 대한 투자를 늘리면서 주가 상승을 견인했다. JP모건 체이스는 1.42% 상승했고, 캐터필러와 홈디포는 각각 5.12%, 1.65% 올랐다.
전문가 "통화 정책 완화, 증시 추가 상승 견인할 것"
전문가들은 연준의 통화 정책 완화가 증시 추가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지라드 자문 서비스의 티모시 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시장에는 통화 정책 조건이 완화됨에 따라 실제로 혜택을 볼 기업이 많다"며 "특히 소형주가 그렇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증시 과열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일부 투자자들은 연준의 금리 인하 폭이 예상보다 컸다며 과도한 통화 완화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규환 글로벌에픽 기자 globalepic7@kakao.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