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5.01(목)

79조 매출 신기록 삼성전자, 성적표 열어보니···

갤럭시 S25 효과 '톡톡' ··· 반도체는 여전히 고전

안재후 CP

2025-05-01 17:47:05

79조 매출 신기록 삼성전자, 성적표 열어보니···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79조 매출 신기록 삼성전자, 성적표 열어보니···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에 갤럭시 S25 시리즈 판매 호조에 힘입어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30일 공시에 따르면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은 79조1,4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05% 증가했으며, 이는 종전 최대였던 작년 3분기(79조987억원)를 소폭 뛰어넘는 기록이다. 영업이익은 6조6,853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2% 증가했고, 순이익은 8조2,229억원으로 21.74% 늘었다

영업이익 시장 전망치보다 30% 웃돌아

이번 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했다. 영업이익은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5조1,523억원을 약 30% 웃도는 수준이었다. 특히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 사업부가 갤럭시 S25 시리즈의 판매 호조로 4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삼성전자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매출 51조7,000억원, 영업이익 4조7,000억원을 기록했으며, 이 중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사업부의 매출은 37조원, 영업이익은 4조3,000억원에 달했다. 부품 가격 하락과 리소스 효율화를 통해 두 자릿수 수익성을 달성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TV를 담당하는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와 생활가전 사업도 각각 네오(Neo) QLED와 OLED 등 전략 제품과 고부가 가전 제품의 판매 확대로 전 분기 대비 수익성이 개선되었다.

DS 부문 영업이익 전년 대비 40% 감소

반면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매출 25조1,000억원, 영업이익 1조1,000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1조9,000억원) 대비 40%가량 감소했다. 메모리 매출은 19조1,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7% 감소했다.

서버용 D램 판매가 확대되고 낸드 가격이 저점에 도달했다는 인식으로 추가 구매 수요가 있었으나, 반도체 수출 통제 등의 영향으로 고대역폭 메모리(HBM) 판매가 감소했다.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는 계절적 수요 약세와, 가동률 정체 등으로 실적이 부진했다.

시스템LSI는 주요 고객사에 플래그십 시스템온칩(SoC)을 공급하지 못했지만, 고화소 이미지센서 등의 공급 확대로 실적은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연구개발비 9조, 역대 최대

삼성전자는 미래 성장을 위한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도 지속해 1분기 기준 역대 최대인 9조원의 연구개발비를 기록했다. 이는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2분기에는 트럼프발 '관세 폭탄' 등 글로벌 무역 환경 악화와 경제 성장 둔화 등으로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6조6,79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04%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현재의 불확실성이 완화될 경우 하반기에는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올해 '상저하고'(上低下高)의 흐름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불확실성 완화되면 하반기 실적개선 기대

하반기에는 메모리 사업에서 HBM3E 12단 개선 제품 및 128GB 이상 고용량 DDR5 판매를 확대하고, 10.7Gbps LPDDR5x 등을 통해 온디바이스 AI 트렌드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8세대 V낸드 전환에 속도를 내 원가 경쟁력도 향상시킬 예정이다.

모바일 사업은 2분기 비수기 진입에 따른 수요 감소가 예상되지만, 갤럭시 S25 엣지 등 플래그십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하고 하반기에는 폴더블 신제품 판매를 확대할 방침이다. AI 기능을 제품에 최적화하고, 태블릿과 웨어러블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도 확대하며, XR(확장현실) 헤드셋 등 새로운 제품도 준비 중이다.

TV와 가전 부문도 AI 기능을 탑재한 신제품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

시스템LSI는 2분기에 주요 고객사의 플래그십 제품에 SoC를 적용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2억 화소 센서 판매를 확대할 예정이며, 파운드리는 2나노 공정 양산을 안정화하고 모바일·차량용 수요에 대응해 실적을 개선한다는 전략이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744,000 ▲246,000
비트코인캐시 532,000 ▼1,500
이더리움 2,646,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290 ▼30
리플 3,213 ▼4
이오스 977 ▼6
퀀텀 3,142 ▼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952,000 ▲349,000
이더리움 2,649,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4,280 ▼40
메탈 1,217 ▼2
리스크 791 ▼0
리플 3,216 ▼3
에이다 1,011 ▼6
스팀 21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720,000 ▲210,000
비트코인캐시 533,000 ▼2,000
이더리움 2,643,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4,280 ▼10
리플 3,215 ▼1
퀀텀 3,153 0
이오타 3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