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집회에서 혹여라도 대북전단 살포가 이뤄질 경우 접경지역 도민들의 안전과 평화를 중대하게 위협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경기도는 현재 발령중인 행정명령에 의거, 파주 등 위험지역에 대한 강도높은 순찰과 감시활동을 통해 대북전단 살포를 반드시, 그리고 끝까지 막아낼 것이다. 이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윤석열 정부시절 경기도는 대북전단살포 저지를 위해 ‘외로운 노력’을 기울여야 했다.
앞서 지난해 6월 11일 김동연 지사는 특사경을 투입해 접경지역 내 현장 순찰을 실시하도록 하는 특별지시를 내렸지만, 행정명령 이후에는 주·야간 순찰인력이 더욱 늘어났고, 특사경은 기습살포에 대비한 24시간 출동 대응 체제를 유지해왔다.
그 결과 경기도는 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가 지난해 10월 31일과 올해 4월 23일 파주시 임진각에서 시도한 대북전단 살포를 현장에서 저지해낼 수 있었다.
이제는 경기도가 홀로 고군분투하던 윤석열 정부 때와 사정이 달라졌다. 이재명 정부 출범후 대반전이 일어났다.
대북전단 살포에 엄정대처하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 이후 통일부는 지난 16일 유관기관 협의체 회의를 열었으며, 중앙정부 주관의 협의체에 지방정부인 경기도도 참여할 수 있었다.
이에 모두(冒頭)에서 밝힌대로 경기도는 김동연 지사가 발령한 행정명령에 의거해 위험구역 내 대북전단과 관련한 물품 반입을 금지하고, 전단 살포 강행시에는 행위자를 처벌할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
경기도는 김동연 지사가 강조해온대로 북한의 오물풍선과 대남방송,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가 접경지 도민의 일상을 파괴하지 않도록 단호히 대처해나갈 것다.
[글로벌에픽 이정훈 CP / smedail@daum.net]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