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15(화)

인스웨이브, 조달청 차세대 나라장터 ‘웹표준 UI/UX 플랫폼’ 공급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혁신 및 업무 효율성 향상에 기여
국가 핵심 조달 시스템 디지털 전환 웹표준 UI/UX 구현

신승윤 CP

2025-07-15 11:28:41

인스웨이브, 조달청 차세대 나라장터 ‘웹표준 UI/UX 플랫폼’ 공급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AI·DX 전문기업 인스웨이브(대표 어세룡, 450520)는 조달청이 구축한 차세대 국가종합전자조달(나라장터) 시스템에 웹표준 UI/UX 플랫폼 ‘웹스퀘어5(WebSquare5)’를 공급하며, 사용자 경험 혁신과 업무 효율성 제고에 힘을 보탰다고 14일 밝혔다.

차세대 나라장터는 공공조달 거래의 급증, 시스템 노후화, 전자입찰 건수 폭증 등 기존 한계를 극복하고자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도입해 안정성과 편의성을 대폭 강화한 대규모 혁신 사업으로, 2002년 첫 개통 이후 약 23년 만인 올해 3월 31일 정식 오픈하며 우리나라 공공조달 역사에 의미 있는 전환점을 맞았다.

이번 사업에서 UI/UX 플랫폼 웹스퀘어5(WebSquare5)를 공급한 인스웨이브는 실제 업무 흐름에 맞춘 자동화 기능과 맞춤형 서비스 제공 역량을 인정받아, 불필요한 메뉴와 입력 항목을 최소화하고 직관적 UI와 반응형 디자인을 적용해 사용자의 업무 효율성과 접근성을 크게 높였다.

뿐만 아니라 민간 쇼핑몰 수준의 친숙한 상품구매 경험을 구현한 쇼핑몰 개편을 통해 공공조달 서비스의 품질을 한 단계 끌어올렸으며, 자체 조달시스템의 중복 운영 해소와 나라장터 통합 요구에 부응해 일원화된 공공조달 플랫폼 구축에도 기여했다. 웹표준을 따라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최신 IT 트렌드와의 연동이 용이한 구조로 향후 기능 확장성과 유지보수 편의성까지 고려한 설계 역시 강점으로 꼽힌다.
조달청은 개통 이후 안정화 기간에 이번 차세대 나라장터의 성공적인 전환이 다양한 협력기관과 현장 담당자, 조달기업 등 여러 주체의 헌신과 긴밀한 협업의 결과임을 높이 평가하며, 이들의 노력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유공 포상으로 감사의 뜻을 전하기도 했다.

또한 앞으로도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최우선으로 삼고, AI 기반 기능과 부가가치 조달 통계 등 혁신적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공공조달 환경의 품질과 편의성을 한층 더 높여갈 계획임을 공식 선언했다.

어세룡 인스웨이브 대표는 “차세대 나라장터의 성공적인 대전환에 인스웨이브가 UI/UX 혁신 파트너로 함께할 수 있었던 것은 각 분야의 전문성과 협력이 만들어낸 값진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변화하는 공공조달 환경에 맞춰 현장과 긴밀히 소통하며, AI와 데이터 기반의 혁신적 UI/UX 솔루션으로 공공 서비스의 신뢰와 가치를 높이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번 공급을 통해 인스웨이브는 대형 공공 플랫폼의 디지털 혁신을 뒷받침하는 핵심 파트너임을 증명했으며,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품질과 시스템 안정성 강화에 대한 전문성과 기여가 다시 한 번 확인됐다.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 kiss.sfws@gmail.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5.28 ▲13.25
코스닥 812.88 ▲13.51
코스피200 434.78 ▲2.29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10,000 ▼371,000
비트코인캐시 666,000 ▼4,000
이더리움 4,058,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4,500 ▼200
리플 3,877 ▼27
퀀텀 3,020 ▼2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16,000 ▼502,000
이더리움 4,055,000 ▼29,000
이더리움클래식 24,470 ▼270
메탈 1,039 ▼12
리스크 592 ▼4
리플 3,878 ▼28
에이다 980 ▼8
스팀 193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70,000 ▼380,000
비트코인캐시 665,500 ▼5,000
이더리움 4,061,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24,470 ▼270
리플 3,875 ▼32
퀀텀 3,042 0
이오타 29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