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20(수)

인스웨이브, AI·DX 인재 양성의 새로운 이정표...채용연계형 교육과정 1기 성과 공개

AI 시대 맞춤형 개발자 탄생...인스웨이브, 6개월 집중교육으로 정규직 채용까지

신승윤 CP

2025-08-01 14:21:13

인스웨이브, AI·DX 인재 양성의 새로운 이정표...채용연계형 교육과정 1기 성과 공개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6개월 실무교육 통해 배출된 우수 인재들, 정규직 채용 기회까지 제공
'삼시세끼' 팀 개발 'Unicon' 플랫폼, 비대면 컨퍼런스 솔루션 혁신성 입증

AI와 디지털 전환(DX) 전문기업 인스웨이브(대표 어세룡, 종목코드 450520)가 실무 중심 IT 인재 양성의 성공사례를 제시했다. 지난 31일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개최된 '채용연계형 교육과정 1기 최종 프로젝트 발표회 및 수료식'은 단순한 수료식을 넘어 국내 IT 업계의 인재 부족 문제에 대한 실질적 해법을 보여주는 자리로 평가받고 있다.

혁신적 AI 기술력으로 무장한 기업의 인재양성 노력

인스웨이브는 2002년 설립되어 2023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업용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으로, 국내 최초 AI 에이전트(Agent)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사용자전환(UX) 개발 플랫폼 '웹스퀘어 AI(WebSquare AI)'를 중심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회사는 900여 개의 고객사와 4000여 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탄탄한 업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AI 에이전트 기반 차세대 개발 플랫폼으로 거듭나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인스웨이브의 핵심 솔루션인 웹스퀘어 AI는 통합 AI 에이전트를 통해 UI/UX 설계부터 코드 작성, 테스트 자동화까지 개발 전 과정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일관된 품질의 UI/UX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이 이번 교육과정에서 참가자들이 높은 수준의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다.

실무 밀착형 교육으로 입증된 성과

이번 수료식의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는 6개월간의 집중적인 실무 교육을 통해 배출된 인재들의 높은 완성도다. 최종 프로젝트 발표에서는 창의성, 효과성, 구현 완결성, 발표력, 팀워크 등 5가지 핵심 평가 기준을 통해 교육생들의 역량을 다각도로 평가했다. 심사위원단은 인스웨이브 교육 멘토 및 사업본부장, CTO, 전임 교수 등으로 구성되어 엄정하고 객관적인 심사를 진행했다.

대상을 수상한 '삼시세끼' 팀(이재원, 김시연, 여경원, 이병욱)이 개발한 '유니콘(Unicon)' 플랫폼은 특히 주목받았다. 이 솔루션은 기업 환경별 맞춤형 비대면 컨퍼런스 플랫폼을 모듈 단위로 구축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영상통화, AI 집중도 분석, 출석 관리 등 핵심 기능을 유연하고 확장성 있게 제공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업무 환경에 최적화된 이러한 솔루션은 심사위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으며 실무 적용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산학협력의 모범사례, KOSA와의 협력

이번 교육과정은 인스웨이브와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가 협력해 진행한 실무 중심 IT 인재 양성 프로그램의 결실이다. KOSA는 소프트웨어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의 이용촉진을 통하여 소프트웨어산업을 진흥함으로써 국민생활의 향상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협회로, 다양한 회원사와 함께 채용연계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교육 기간 중 인스웨이브는 교육생들을 회사로 초청해 비전과 주요 솔루션, 실무 환경을 직접 소개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이러한 기업과 교육생 간의 적극적인 소통은 단순한 이론 교육을 넘어 실제 업무 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AI 시대를 맞이한 기업의 인재 확보 전략

인스웨이브의 이번 교육과정은 급변하는 AI 시대에 기업이 어떻게 필요한 인재를 확보하고 양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단순히 기존 개발자를 채용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의 기술 철학과 솔루션에 맞는 인재를 직접 양성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조직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다.

웹스퀘어 AI가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으로부터 GS(Good Software) 인증 1등급을 획득한 것처럼, 인스웨이브의 기술력은 이미 공인된 상태다. 지난해부터 △메이저 증권사 △유통사 △통신사 등에서 웹스퀘어 AI를 도입해 안정적인 운영하고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최근 신용카드사 및 화재보험사 등 주요 금융권에 진행한 AI 기능에 대한 기술검증(PoC)에서 긍정적인 평가와 사업 확대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교육과정을 통해 양성된 인재들이 활용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이 충분히 마련되어 있다.

디지털 혁신 시대의 인재양성 플랫폼으로 발돋움

김욱래 인스웨이브 CTO는 "최종 프로젝트 발표를 보며 교육생들의 높은 수준과 그동안 개개인이 쏟아온 노력이 잘 드러났다"며, "6개월간 실무 중심 교육을 통해 다진 역량을 바탕으로 이들이 충분한 IT 인재로 성장했다고 확신한다"고 평가했다.

수료생 중 우수 인재들은 인스웨이브 실무진과 임원의 면접을 거쳐 정규직 채용 기회를 부여받으며, 미래 핵심 인력으로서 즉시 현장에 합류할 예정이다. 이는 단순한 교육과정을 넘어 실제 취업까지 연계되는 완전한 인재양성 생태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올해는 연초부터 진행된 사업 외에도 다방면에서 '웹스퀘어 AI'에 대한 새로운 문의가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금융과 공공부문에서 다양한 신규 프로젝트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과정을 통해 양성된 인재들의 활용 전망도 밝다.

국가 디지털 혁신을 이끄는 사회적 가치 실현

이번 교육과정은 인스웨이브와 KOSA가 협력해 진행한 실무 중심 IT 인재 양성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사회적 가치 실현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급속히 발전하는 AI 기술과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서 기업이 단순히 이익 추구를 넘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특히 국세청 홈택스 고도화 사업 1단계에 웹스퀘어 AI가 도입돼 대민 서비스 혁신을 이끌며 공공부문에서도 신뢰받는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한 상황에서, 이러한 첨단 기술을 다룰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직접 양성한다는 것은 국가 전체의 디지털 경쟁력 향상에도 기여하는 일이다.

인스웨이브는 2025년 4월 8일에는 인스웨이브시스템즈에서 현재의 사명인 인스웨이브로 상호를 변경하며 AI 시대를 맞이한 새로운 도약을 선언한 바 있다. 이번 교육과정의 성공은 회사의 이러한 비전이 실제로 구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으로 해석된다.

앞으로 인스웨이브의 이러한 인재양성 노력이 어떤 성과로 이어질지, 그리고 국내 IT 업계의 인재 부족 문제 해결에 어떤 기여를 할지 주목된다. 디지털 혁신의 미래를 이끌어 갈 인재 발굴과 지원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는 이번 사례가 다른 기업들에게도 좋은 벤치마킹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 kiss.sfws@gmail.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30.09 ▼21.47
코스닥 777.61 ▼10.35
코스피200 423.66 ▼2.5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99,000 ▲208,000
비트코인캐시 775,500 0
이더리움 5,896,000 ▲41,000
이더리움클래식 29,280 ▲140
리플 4,056 ▲18
퀀텀 2,804 ▲1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99,000 ▲163,000
이더리움 5,890,000 ▲36,000
이더리움클래식 29,270 ▲150
메탈 1,000 ▲1
리스크 533 ▼2
리플 4,058 ▲16
에이다 1,198 ▲7
스팀 17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10,000 ▲150,000
비트코인캐시 776,500 ▲1,500
이더리움 5,900,000 ▲40,000
이더리움클래식 29,300 ▲100
리플 4,058 ▲19
퀀텀 2,780 0
이오타 27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