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뜨거운쇠로 편자를 만들고 있는 장제사의 모습
그런데 이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이들이 있으니 바로 ‘장제사’다. 말을 사랑하는 대장장이라고도 할 수 있는 장제사는 말의 발굽을 보호하고 경주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합한 편자를 제작하는 직업이다.
편자의 재료가 되는 쇠는 원래 ‘I’자형인데 이를 뜨거운 불에 달구어 각 경주마의 발굽에 맞게끔 구부리고 다듬어 발굽에 부착해야 한다. 뜨거운 화덕에서 갓 구워낸 쇠를 다루다 보니 현장 온도는 50도를 넘기기 일쑤다. 그들의 구슬땀이 남달라 보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국내에서 활동하는 장제사는 약 70여명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들 중에서도 최고의 실력자로 꼽히는 5인이 오는 8월 호주 브리즈번에서 개최되는 국제장제사대회에 참가하는 등 한국의 우수한 장제기술을 세계무대에 알리기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구슬땀을 흘리며 작업하는 장제사의 모습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 kiss.sfws@gmail.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