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07(목)

PS일렉트로닉스, 자율주행·AI 신사업으로 드라마틱 성장 예고

신한투자증권, "북미 전기차 수주부터 로봇팔까지, 상장 이래 최대 성장세 기대"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8-06 09:16:01

PS일렉트로닉스, 자율주행·AI 신사업으로 드라마틱 성장 예고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PS일렉트로닉스가 모바일 RF FEM 사업에서 자율주행, 로보틱스, AI 서버까지 사업 영역을 대폭 확장하며 역대 최고 성장세를 예고하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6일 발표한 리포트에서 "올해 말부터 내년 초까지 다수 호재가 실적으로 돌아오는 시기가 멀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PS일렉트로닉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RF FEM 내에서 전력증폭기모듈, 스위치, 필터 제품을 주력으로 한다. 연결 자회사를 통해 사업 영역이 다각화됐으며, 2017년 인수한 피에스시스템은 한국전력향 계량기 통신모뎀을 납품하고 있다. 2024년 7월 PS오닉스를 인수해 자동차 전장 파트 부품사업이 확장됐고, 2025년 1월 영진하이텍을 흡수합병해 IT기기, 반도체용 공정자동화 장비 제조사업이 추가됐다.

가장 주목할 성과는 올해 초 북미 최대 전기차 제조사의 2026년 미주 모델 전체에 5G 텔레매틱스 통신 모듈의 핵심 부품인 RF FEM 수주가 확정된 것이다. 이르면 올해 말부터 양산 예정으로, 해당 업체의 미주 생산비중 40% 감안 시 최소 300~400억원의 신규 매출이 예상된다. 글로벌 모델로의 확산이나 모듈 단위 수주 등에 따른 추가 성장 가능성도 열려 있다.

자회사 PS오닉스는 해당 업체향 Copper Busbar와 차량용 무선충전기 수주도 확보했다. 국내 최대 무선충전기 완제품 업체를 거쳐 독일 최대 완성차 업체에 납품될 전망이며, 향후 10년치 수주를 확보한 상태다. PS오닉스는 점진적인 점유율 확대를 통한 성장이 예상되며, 인도법인에 약 100억원 규모로 공장 증설을 진행하고 있다.
2025년 1월 312억원에 인수한 영진하이텍도 새로운 성장 동력이다. 반도체 테스트 핸들러를 개발해 국내 대형 반도체 장비사에 초도 물량을 수주했으며, 향후 베트남 1공장 증설을 통해 메모리 웨이퍼 핸들러 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국내 주요 고객사는 AI 기능이 탑재된 로봇팔 도입을 계획하고 있어, PS일렉트로닉스는 로봇팔 자체 개발을 통해 고객사에 납품할 계획이다.

AI 서버 시장 진출도 주목할 만하다. PS일렉트로닉스는 Super Micro Computer의 한국 내 비즈니스 파트너로 선정돼 국내 최대 벤더가 될 전망이다. 총판 자체의 마진은 크지 않지만, 우선 고객사를 확보한 후 중장기적으로 OEM으로의 역할을 확대하는 방향을 모색 중이다.

최승환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북미 전기차향 텔레매틱스 공급, 차량용 무선충전기 수주, 반도체 장비 납품 및 국내 대형 IT업체 로봇팔 개발 참여, AI 서버 시장 진출 등 호재가 다수"라며 "호재가 실적으로 돌아오는 기간은 올해 말~내년 초로 멀지 않았으며, 역사적 저점인 현 주가수준에서 부담 없이 접근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2025년 매출액 2,121억원, 영업이익 156억원을 전망한다. 영진하이텍 합병과 PS오닉스 연결 온기반영으로 매출액이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2026년에는 자율주행차향 RF FEM 및 Copper Busbar, 무선충전기, 반도체 장비 양산 매출이 모두 시작됨을 감안해 매출액 2,486억원, 영업이익 210억원을 예상한다.

회사는 2025년 7월 기취득 자기주식 976,562주를 소각했으며, 향후 실적 개선에 따라 추가 주주환원 가능성도 열려 있다. 2025년 PER 9.8배에 불과하며 상장 후 최고 시가총액 대비 1/5 수준으로, 기대감이 반영되지 않은 부담없는 주가 레벨이라는 평가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8.14 ▲0.14
코스닥 803.49 ▲4.89
코스피200 430.68 ▼0.57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633,000 ▼256,000
비트코인캐시 794,500 ▼3,000
이더리움 5,120,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8,250 ▼80
리플 4,182 ▼7
퀀텀 2,923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676,000 ▼203,000
이더리움 5,122,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8,280 ▼50
메탈 1,004 ▲1
리스크 565 ▲1
리플 4,184 ▼6
에이다 1,032 ▼5
스팀 18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650,000 ▼250,000
비트코인캐시 794,000 0
이더리움 5,12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8,420 ▲110
리플 4,177 ▼13
퀀텀 2,874 0
이오타 26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