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계 최초로 예탁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5천 명을 돌파하며 '대한민국 자산관리 명가'의 위상을 재확인한 것이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수는 5,44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말 대비 91% 증가한 수치로, 업계 최초이자 최다 기록이다. 삼성증권이 '초고액자산가 5천 명 시대'를 연 주인공이 된 셈이다.
주목할 점은 고객층의 변화다. 연령대별 증가율을 살펴보면 30대가 194%로 가장 높았고, 40대 184%, 20대 178%가 뒤를 이었다. 50대 147%, 60대 93%, 70대 이상 39% 순으로 나타나 젊은 세대의 신규 유입이 초부유층 고객 증가를 이끌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최근 초고액자산가들이 채권, 해외투자, 사모대체상품 등 글로벌 자산 다각화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삼성증권은 채권과 해외자산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자산배분 전략에서 차별화된 노하우를 축적해왔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들 고객의 투자 행태는 매우 공격적이고 전략적이다. 포트폴리오 내 현금 비중은 2020년 말 23.0%에서 올해 9월 말 11.5%로 11.5%포인트 감소했다. 유동성을 투자 자산으로 빠르게 리밸런싱하며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들의 투자 방향은 명확하게 글로벌로 향하고 있다. 전체 자산에서 해외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말 12.6%에서 올해 23.2%로 10.6%포인트 급증했다. 고금리 환경에서 절세 효과가 큰 저쿠폰 국채와 글로벌 AI 인프라 및 대형 기술주 중심의 해외주식 투자가 증가한 결과다.
하지만 국내 시장도 놓치지 않았다. 최근 국내 증시 부양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올해 들어 국내 주식 투자 비중이 5.1%포인트 확대됐다. 매매 상위 종목은 삼성전자, 두산에너빌리티, SK하이닉스, 한화오션, 알테오젠, 네이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카카오, 현대로템 순으로 나타났다. AI 반도체 핵심 대형주와 방산, 원전, 인프라 등 정책 수혜주에 집중 투자하며 공격적인 수익 추구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성과는 삼성증권이 20여 년간 쌓아온 자산관리 역량의 결실이다. 삼성증권은 2003년 업계 최초로 자산관리 서비스를 도입한 데 이어, 2010년 초고액자산가 전담 브랜드 'SNI(Success & Investment)'를 선보이며 줄곧 업계를 선도해왔다.
삼성증권의 경쟁력은 프라이빗 뱅커(PB)의 컨설팅 역량, 최적화된 상품 솔루션, 강력한 인프라의 삼박자가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 데 있다. 투자은행(IB) 부문은 기업 오너 고객을 대상으로 IPO, M&A, 가업승계 등 맞춤형 자문을 제공하고, 리서치센터는 업계 최고 수준의 전문 인력과 시장 인사이트로 정교한 투자 전략과 리스크 관리 솔루션을 제시한다.
유정화 삼성증권 SNI/법인전략담당 상무는 "예탁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5천 명 달성은 고객이 보내주신 신뢰의 상징"이라며 "앞으로도 고객 중심 가치를 최우선에 두고 대한민국 대표 증권사로서 업계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삼성증권의 이번 성과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젊은 고액자산가들이 신뢰할 수 있는 자산관리 파트너로 삼성증권을 선택했다는 점, 그리고 글로벌 자산 배분과 국내 정책주 투자를 병행하며 균형잡힌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자산관리 시장의 성숙도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가 되고 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