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07(금)

코람코 "오피스텔 시장, '공급 절벽'에 구조적 회복 기대"

10.15 대책 후 주택 규제 강화…임대주택·코리빙 등 리빙 섹터로 투자 이동 전망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0-24 10:05:13

코람코 "오피스텔 시장, '공급 절벽'에 구조적 회복 기대"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오피스텔 시장이 공급 부족과 규제 강화로 인한 구조적 회복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주택시장 규제가 강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제약이 적은 오피스텔과 코리빙 등 리빙 섹터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이동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코람코자산운용은 24일 '2025 국내 오피스텔 시장 보고서'를 발간하고, 최근 수요 대비 공급이 급격히 위축된 오피스텔 시장이 '공급 절벽' 국면에 진입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오피스텔 인허가 물량은 2019년 최고점을 기록한 후 감소세를 보이며 지난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2029년까지 신규 입주 예정 물량도 약 6만 실에 불과해 향후 5년 내 공급이 빠르게 감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수요 기반은 견고해지고 있다. 1~2인 가구 비중이 전체의 67%에 달하고 도심 거주 선호가 높아지면서 실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특히 수도권의 평균 임대수익률이 5.2% 수준으로 회복되고 공실률도 지속적으로 낮아지며 수익형 주거자산으로서의 안정성이 강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10.15 대책 후 주택 규제 강화…오피스텔은 상대적 메리트

정부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도 오피스텔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이 새롭게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고, 주택담보대출 한도 축소와 스트레스 금리 상향 등 금융 규제가 대폭 강화됐다.

코람코는 이 같은 규제 강화가 일반 주택시장의 거래를 위축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규제 영향이 적은 오피스텔과 준주택으로 수요가 이동할 가능성을 높인다고 봤다. 특히 새로 지정된 토지거래허가구역의 규제는 주택에만 적용되며, 오피스텔·상가 등 비주택은 기존 LTV(70%)가 유지될 예정이어서 오피스텔 투자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오피스텔 시장은 개인 수요의 분양 중심에서 기관투자자 주도의 매입형 임대주택으로 시장 구조가 재편되고 있다. 기존 오피스텔·호텔을 코리빙으로 전환하는 밸류애드 전략이 활발해지며 리빙 섹터가 오피스·물류센터에 이은 대체투자의 핵심축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실제 글로벌 투자사 모건스탠리는 SK D&D 계열사 DDPS와 함께 '에피소드 컨비니 독산', '상수' 등 코리빙 개발사업을 추진 중이다. KKR 역시 코리빙 전문회사 위브리빙과 손잡고 강남, 회기 일대에서 오피스텔 및 호텔 자산을 코리빙 형태로 리모델링하고 있다. 그 밖에 ICG, CPPIB, 하인즈 등 다수의 글로벌 대체투자 운용사들이 성수·용두·명동 등 핵심 입지를 중심으로 리빙 섹터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가격과 수익률 측면에서는 분양가의 양극화와 임대수익률의 점진적 회복이 병행되고 있다. 서울 주요 역세권에서는 하이엔드 오피스텔의 프리미엄이 강화되는 반면, 다수 지역에서는 분양가·금리·건축비의 삼중 부담이 신규 공급을 제약하고 있다.
코람코는 2025년 이후 금리 안정과 공급 절벽 효과가 누적되면서 임대료 상승 압력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임대주택·코리빙 등 운영 역량을 전제로 한 장기 인컴형 전략의 유효성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김열매 코람코자산운용 리서치&전략실 실장은 "지난 수년간 줄어든 인허가 물량의 영향으로 향후 5년간 공급 물량도 줄어드는 상황"이라며 "정책 환경 변화가 매수·개발 의사결정의 전제조건이 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지역·수요 세분화·운영전략의 정밀도가 오피스텔 사업의 성패를 가를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람코는 이번 분석을 바탕으로 리빙 섹터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회사는 그간 오피스·물류센터 등에서 축적해 온 개발·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코리빙·임대주택 등 실거주형 자산에서 밸류애드와 운영 효율화를 결합해 중장기 인컴 수익을 강화하는 투자전략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953.76 ▼72.69
코스닥 876.81 ▼21.36
코스피200 557.98 ▼10.40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120,000 ▼68,000
비트코인캐시 727,500 ▲1,500
이더리움 5,008,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3,540 ▲790
리플 3,330 ▲6
퀀텀 2,739 ▲3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271,000 ▼42,000
이더리움 5,01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3,560 ▲820
메탈 664 ▲4
리스크 290 ▲1
리플 3,334 ▲7
에이다 819 ▲6
스팀 12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100,000 ▼70,000
비트코인캐시 729,500 ▲5,000
이더리움 5,010,000 0
이더리움클래식 23,540 ▲790
리플 3,332 ▲8
퀀텀 2,746 0
이오타 19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