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25(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8천억원 들여 인니 팜농장 인수한 배경?

EUDR 인증 완료한 프리미엄 자산, SAF 원료 수요 급증 대비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1-25 09:19:13

포스코인터내셔널이 8천억원 들여 인니 팜농장 인수한 배경?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팜유 사업 확장을 위한 대규모 인수에 나섰다. 회사는 인도네시아 팜 농장 기업 PT Sampoerna Argo 지분 66%를 5억 7,000만 달러(약 8,000억원)에 인수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인수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추진한 전략적 투자다. 지난 19일 SPA(주식매매계약) 체결을 완료했으며, 내년 상반기까지 PMI(인수 후 통합) 및 잔여 소액 지분 공개매수를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포스코인터내셔널의 CPO(조팜유) 생산량은 연간 약 20만톤 수준이다. 소재 사업 중 인니팜 부문의 영업이익은 약 1,000억원에 달한다. 이번 인수로 CPO 생산능력은 60만톤 수준까지 확대된다. 회사는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2030년까지 CPO 70만톤, 2035년에는 100만톤 생산 체제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이렇게 되면 연간 전체 영업이익은 3,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핵심은 수직계열화를 통한 수익성 극대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최근 연간 50만톤 규모의 팜유 정제설비를 준공했다. 인수 물량 대부분을 자체 설비에서 처리할 수 있어 원료 조달부터 정제, 트레이딩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밸류체인이 완성된다. 정제된 팜유는 국내 정유사의 SAF(지속가능항공유) 원재료로 공급될 예정이다.
2028년 이후 팜유 수급 역전 예상​

이번 인수 대상이 특별한 이유는 유럽의 까다로운 환경 규제를 통과한 자산이기 때문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기존 인니 농장과 인수 대상 농장 모두 EUDR(유럽 산림벌채 규제) 기준 이전에 조성됐고, 관련 인증까지 완료한 상태다. 앞으로 강화될 유럽 친환경 규제 속에서 프리미엄을 받을 수 있는 자산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환경 규제가 엄격해질수록 인증받은 농장의 가치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팜유는 글로벌 교역량 기준 시장 점유율 4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기초 식물성유다. 유채나 대두보다 생산성이 4~8배 높아 경제성이 뛰어나다.

수요 전망도 밝다. 주요 기관들은 글로벌 팜유 수요가 연평균 3% 성장하는 반면, 공급은 신규 개발 제한 등으로 1% 수준 증가에 그칠 것으로 내다본다. 2028년 이후에는 수급 역전이 예상돼 가격 강세와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특히 SAF 원료로서의 활용이 확대되면서 구조적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항공업계의 탄소중립 움직임이 본격화되면 팜유의 전략적 가치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번 인수 자금 8,800억원은 단기차입금으로 조달했다. 이로 인해 연결 기준 총 차입금은 2024년 5조 9,000억원에서 현재 6조 7,000억원 수준으로 증가했다.

회사는 향후 이사회를 통해 저금리 장기차입으로 대환을 추진할 계획이다. 작년 발표한 2025~2027년 CAPEX 3조 2,000억원 계획안에 팜 사업 예산 약 8,000억원이 이미 반영돼 있어, 재무 부담은 크지 않다는 판단이다.
유진투자증권 황성현 애널리스트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이번 인수는 단순한 규모 확대가 아니라 수직계열화를 통한 수익성 제고 전략"이라며 "EUDR 인증을 받은 프리미엄 자산 확보와 함께 SAF 시장 성장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갖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872.71 ▲26.65
코스닥 857.26 ▲0.82
코스피200 546.69 ▲5.88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1,878,000 ▼414,000
비트코인캐시 817,500 ▼1,000
이더리움 4,382,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1,160 ▼100
리플 3,376 ▼6
퀀텀 2,360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1,841,000 ▼347,000
이더리움 4,381,000 ▼36,000
이더리움클래식 21,170 ▼120
메탈 612 ▼6
리스크 270 ▼3
리플 3,373 ▼8
에이다 638 ▼4
스팀 11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1,840,000 ▼350,000
비트코인캐시 817,500 ▼500
이더리움 4,380,000 ▼40,000
이더리움클래식 21,180 ▼150
리플 3,373 ▼9
퀀텀 2,365 ▼29
이오타 17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