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 원준, 박수진 교수 세계 최초 상용성·안전성 모두 확보 리튬 배터리용 겔 전해질 개발 성공](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4061910274701751abe7dc98961452146165.jpg&nmt=29)
19일 포스텍(POSTECH)에 따르면 박수진 화학과 교수와 통합과정 남서하 씨·손혜빈 박사 연구팀이 안정성과 상용성을 모두 갖춘 겔 전해질 기반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전기차·휴대용 전자제품은 물론 에너지 저장 장치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배터리에 사용되는 액체 전해질은 화재와 폭발 위험이 커 이를 대체할 전해질 개발 연구가 활발하다. 그중 하나는 액체 전해질을 기반으로 한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와 전고체 배터리의 중간 형태인 반고체 배터리다. 이 배터리는 젤리 같은 겔(gel) 형태의 전해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정성과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수명도 비교적 길다.
겔 전해질을 제작하려면 장시간의 고온 열처리 공정이 필요하다. 그로 인해 전해질이 분해되는 등 배터리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고, 제작 단가도 높아질 수 있다. 또 반고체 전해질과 전극 간 계면 저항도 겔 전해질 제작 공정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특히 까다로운 제작 방식이나 대면적화의 어려움과 같은 공정상 한계로 현재 상용 배터리 생산 라인에 바로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겔 전해질을 활용한 파우치형 배터리는 초기 충·방전 과정에서 배터리 부반응으로 인한 가스 발생을 억제해 기존 대비 가스 발생량을 2.5배 줄였다. 전극과 겔 전해질 간 호환성도 높아 계면 저항도 효과적으로 낮췄다.
1.2Ah(암페어아워)의 고용량 배터리를 만들어 전해질 분해가 가속화되는 55도에서 성능을 실험한 결과, 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200사이클 이후에도 1Ah 용량을 유지해 안전성을 입증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기존 파우치형 배터리 제작 공정 라인을 유지하면서 빠르게 대량 생산할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전해질과 배터리의 안정성, 그리고 상용성 모두 확보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한국연구재단의 중견과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국제 학술지인 '스몰(Small)'에 게재됐다.
한편 이번 연구를 이끈 박수진 교수는 현재 원준의 사외이사로 등재돼 있다.
글로벌에픽 증권팀 박진현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