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15(월)

(기고문) 평범한 이들의 손끝에서 이어지는 호국

김민성 CP

2025-06-17 11:37:56

인천보훈지청 이지연

인천보훈지청 이지연

[글로벌에픽 김민성 CP] 경남 합천의 해인사를 찾으면 우리 민족의 위대한 문화유산, 팔만대장경을 만날 수 있다. 많은 이들이 이를 단순한 불교 경전으로 알고 있지만, 팔만대장경은 단순한 불교 경전이 아니다. 이는 몽골의 침략 앞에서 고려 백성들이 부처의 힘을 빌려서라도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절박한 염원이 깃든, 우리 민족 호국역사의 상징물이다.

팔만대장경은 조선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여러 번의 사라질 위기를 겪었다. 임진왜란 당시 왜군의 약탈 위협, 해인사에 발생한 일곱 차례의 화재, 6.25전쟁 당시 해인사 폭격 명령까지도 모두 견뎠다.

그 모든 순간마다 팔만대장경을 지켜낸 사람들이 있었다. 왜군에 맞서 싸운 의병과 승병, 과학적 설계로 해인사를 지은 장인들, 그리고 폭격 명령을 거부한 故 김영환 장군까지. 그들은 왕도, 귀족도 아닌 우리처럼 평범한 사람들이었다. 평범한 이들의 손끝에서, 팔만대장경은 만들어지고 지켜지고 이어져 온 것이다.

우리는 종종 '호국'이란 말을 어렵고 멀게 느낀다. 나라를 위해 희생한 독립운동가, 6・25전쟁의 장병들, 민주화를 외친 이들 앞에서, 평범한 우리는 감히 ‘호국’을 말할 수 없다고 느낀다. 그러나 호국은 결코 특별한 사람만의 몫이 아니다. 과거에도 그랬듯, 오늘날에도 평범한 우리의 일상 속에서 실현될 수 있다.
국가기념일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일, 대중교통에서 노약자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일, 공공장소의 질서를 지키는 일, 직장에서 맡은 바 책임을 다하는 일, 그리고 우리 역사를 알고, 기억하고, 전하는 일. 이것이 바로 평범한 우리들이 일상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작은 의미의 호국’이다. 위대한 영웅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지켜나가는 조용한 실천이자, 그들의 뜻을 오늘의 삶 속에서 이어가는 방식이다.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우리가 누리고 있는 이 자유와 번영이 국가를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았던 수많은 호국영령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 덕분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들의 희생과 헌신에 늘 감사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갖고 그분들의 피와 눈물로 지켜낸 이 나라를, 평범한 국민으로서 일상 속에서 지키고 더욱 발전시키는 일에 최선을 다하는 6월이 되길 바란다.

[글로벌에픽 김민성 CP / Kmmmm112@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07.31 ▲11.77
코스닥 852.69 ▲5.61
코스피200 464.65 ▲1.91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23,000 ▼471,000
비트코인캐시 824,000 ▼6,000
이더리움 6,292,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8,670 ▼130
리플 4,143 ▼9
퀀텀 3,385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67,000 ▼473,000
이더리움 6,297,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8,670 ▼120
메탈 1,027 ▼34
리스크 509 ▼1
리플 4,140 ▼16
에이다 1,198 ▼6
스팀 183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10,000 ▼500,000
비트코인캐시 823,000 ▼7,500
이더리움 6,295,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8,620 ▼100
리플 4,140 ▼12
퀀텀 3,381 ▲17
이오타 26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