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의 2분기 순이익은 총 5조 4천억원으로 컨센서스를 9%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 우리금융지주가 10% 이상 상회하며 선두를 달렸고, 실적 호조는 1분기와 마찬가지로 비이자이익 약진에 기인했다.
KB금융, 8500억원 자사주 매입 발표
KB금융지주는 2분기 순이익 1조 7380억원을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8.3% 상회했다. 더욱 주목받는 것은 8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발표다. 2025년 6600억원 매입 후 자회사 중간배당을 실시하고, 결산 완료 후 추가로 1900억원을 취득할 예정이다. 이로써 2025년 환원율은 52.2%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지주는 2분기 순이익 1조 5490억원으로 컨센서스를 7.9% 상회했다. KB금융에 이어 8000억원 규모의 서프라이즈 자사주 매입을 발표했다. 2025년 6000억원, 2026년 1월 2000억원을 취득할 예정이며, 2025년 환원율은 46.5%로 예상된다.
하나금융지주, 비이자이익 32% 급증
하나금융지주는 2분기 순이익 1조 1730억원으로 컨센서스를 9.6% 상회했다. 비이자이익이 전년동기대비 32.2% 급증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비화폐성 환차익만 1052억원이 반영됐다.
우리금융지주, 최대 상회율 기록
우리금융지주는 2분기 순이익 9350억원으로 컨센서스를 11.1% 상회하며 4개사 중 최대 상회율을 기록했다. 전분기대비 51.8% 급증한 수치다. 비화폐성 환차익 650억원이 반영됐으며, CET1 비율도 12.76%로 34bp 개선됐다.
4대 은행 모두 일회성을 제외한 경상적인 대손비용율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4개사 평균 50bp를 기록해 전분기대비 7.3bp, 전년동기대비 7bp 상승했다. 연간 가이던스가 40bp 중반(신한지주 40bp 중후반)인 점을 고려하면 하반기 대손비용 관리가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박혜진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실적도 중요하지만 은행 자본정책의 통념을 깨는 2분기였다"며 "총 환원율 50%의 현실화는 단연 밸류에이션 재평가로 귀결되어야 하며, PBR 1.0배가 머지않았다"고 강조했다.
대신증권은 우리금융지주를 최선호주로 유지하며, KB금융 13만 2천원, 신한지주 8만원, 하나금융지주 11만원, 우리금융지주 3만원의 목표주가를 제시했다. 업종 투자의견은 '비중확대'를 유지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