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연금은 말 그대로 내 집이 연금이 되는 제도다. 평생 살던 집을 팔지 않고도 그 집을 담보로 매달 연금을 받을 수 있다. 집은 그대로 두고 살면서 동시에 생활비까지 해결하는 일석이조의 해법인 셈이다.
55세부터 시작하는 새로운 노후 설계
주택연금 가입 조건은 생각보다 까다롭지 않다. 부부 중 한 명만 55세 이상이면 되고, 공시가격 12억원 이하의 주택이나 주거용 오피스텔을 소유하고 있으면 된다. 실제 거래가격으로는 대략 17억원 전후 수준이다.
주택연금의 가장 큰 매력은 정부 보증이다. 집값이 떨어지거나 예상보다 오래 살아서 받은 연금액이 집값을 넘어서더라도 정부가 끝까지 책임진다. 이런 든든한 보장을 받기 위해 내야 하는 비용이 초기보증료와 연보증료다.
초기보증료는 주택가격의 약 1.5% 수준이다. 3억원 집이라면 450만원 정도다. 이 금액은 가입 시 한 번만 내면 되고, 원한다면 매달 받는 연금에서 나눠서 낼 수도 있다. 마치 평생 연금을 보장받기 위한 '보험료' 같은 개념이다.
연보증료는 매년 보증잔액의 0.75% 수준으로, 현재까지 받은 연금액이 1억원이라면 연간 75만원 정도다. 하지만 이 역시 매달 받는 연금에서 자동으로 차감되므로 별도로 현금을 준비할 필요는 없다.
집값과 나이가 결정하는 연금액
주택연금의 월 지급액은 주택 가격과 가입자 나이에 따라 달라진다. 같은 집이라도 나이가 많을수록, 집값이 비쌀수록 더 많은 연금을 받는다. 부부의 경우 나이가 적은 쪽을 기준으로 산정되므로, 가입 시점을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00세 시대, 길어진 노후에 대한 준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내 집이 단순한 거주 공간을 넘어 든든한 노후 보장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택연금은 분명 매력적인 선택지다. 물론 가족과 충분히 상의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한 뒤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일이지만 말이다.
집 한 채로 평생을 보장받는 시대, 주택연금이 그 가능성을 열고 있다.
[글로벌에픽 이호근 부동산연금 박사]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